요정으로 쓰던 일본식 가옥에서 ‘한복’ 홍보…서경덕 “답답할 노릇”

요정으로 쓰던 일본식 가옥에서 ‘한복’ 홍보…서경덕 “답답할 노릇”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12-14 09:07
수정 2022-12-14 1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경덕 인스타그램
서경덕 인스타그램
정부와 부산시가 후원해 만든 한복 홍보영상이 일본식 적산가옥(자기 나라나 점령지 안에 있는 적국(敵國)의 재산)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시는 2021년부터 부산을 관광 및 축제와 접목한 한복 문화 거점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와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의 ‘한복 문화 지역거점지원 사업’인 ‘한복 품은 부산’을 진행 중이다. 논란이 된 홍보 영상은 ‘한국 품은 부산’ 행사 소개물 중 하나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문체부와 부산시가 후원하고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가 만든 한복 홍보 영상이 있는데, 이 영상의 배경 중 한 곳이 전통 한옥이 아닌 일본식 ‘적산가옥’이어서 많은 질타를 받고 있다”면서 “특히 이 곳은 2007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명소라곤 하지만, 해방 이후 ‘정란각’이라는 고급 요릿집(요정)으로도 쓰였던 곳”이라고 밝혔다.

서 교수는 “왜 하필 한복을 홍보하는 영상을 만드는데 이 곳에서 촬영을 한 이유가 뭘까”라면서 “참 답답할 노릇”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안그래도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하고 있고, 중국 대표 전자제품 기업인 샤오미 스마트폰 배경화면 스토어에서는 한복을 ‘중국 문화(China Culture)’로 소개해 큰 논란이 됐던 적이 있다”며 “이처럼 중국은 한복을 자신의 전통문화로 편입시키려는 ‘한복공정’을 꾸준히 펼치고 있는데, 이런 어이없는 상황은 중국에 또 하나의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일부 언론은 최근에도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 “탈춤도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서 교수는 “정신 바짝 차려야만 한다”면서 “우리의 문화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도 중요하지만, 우리 스스로가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력를 높이기 위해 더 노력을 해야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