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헷, 참가자 배려하는 소통형 팝업 오디션…성공적인 글로벌 행보 시작

하이헷, 참가자 배려하는 소통형 팝업 오디션…성공적인 글로벌 행보 시작

입력 2023-12-13 09:00
수정 2023-12-13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팝업형 오디션’ 통했다…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인파 몰리며 호평
이미지 확대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팝업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팝업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팝업이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총 3일간 서울시 마포구 홍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오픈 첫날부터 많은 인파가 몰려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성공적인 글로벌 오디션 시작을 알렸다.

팝업은 데뷔 캐릭터를 미리 만나볼 수 있는 테스트존과 콘셉트별 앨범 재킷 커버 촬영을 경험할 수 있는 포토존, 보컬 및 퍼포먼스 실력을 드러낼 수 있는 노래방 존 댄스 챌린지존, 오직 팝업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하이헷 소속 작곡가 겸 프로듀서 드뷰 (DE VIEW), 리즈(LEEZ), 칼리(CALi)의 미공개 데모곡을 들어볼 수 있는 청음존 체험과 확신의 센터를 위한 360 엔딩요정존까지 꽉 찬 구성을 선보여 방문하는 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하이헷 총괄 프로듀서 류디의 댄스 원데이 클래스를 비롯해 팝업 스탬프 투어 이벤트, 현장 후기 이벤트까지 꿈을 꾸는 모든 이들을 향한 온•오프라인 이벤트까지 다양한 이벤트와 선물로 구성돼 큰 관심도 끌었다.
이미지 확대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팝업
하이헷 글로벌 오디션 팝업
류재준 하이헷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인재 육성을 위해 회사가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갖추고 있더라도 신생 기획사들은 인재들을 모으는데 제약이 많다. 그래서 틀에 박힌 오디션이 아닌 체험형 오디션을 통해 친근하게 다가가고 싶고, 아울러 팝업을 통해 ‘하이헷’의 브랜드도 친근하게 알리고 싶다”고 전했다. 또 “데뷔하면 경험하게 될 부분들을 팝업 부스를 통해 미리 체험하면서 잠재력 있는 10대들이 가능성을 발견하거나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루고자 노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준비했다”며 글로벌 오디션 팝업을 기획한 이유를 밝혔다.

이은림 서울시의원, 도봉구 전역에 ‘적색잔여신호기’ 2025년 31개소 확대 설치

서울시의회 이은림 의원(국민의힘, 도봉4)은 도봉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생활밀착형 안전 정책의 하나로 ‘보행신호등 적색잔여시간 표시기’ 설치가 2025년 도봉구 전역 31개소에서 본격 추진된다고 밝혔다. ‘보행신호등 적색잔여시간 표시기’는 보행자가 적색 신호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 녹색 신호에만 적용되던 잔여시간 표시 기능을 적색 신호에도 확장한 시스템이다. 적색 신호 종료 99초 전부터 6초 전까지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무단횡단을 예방하고, 보행자 대기 불편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 의원은 “적색잔여신호기는 특히 어린이와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높여주는 효과적인 보행 안전장치”라며 “주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는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서울시와 적극 협의한 결과, 도봉구 주요 교차로에 설치가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2025년 설치 예정인 31개소는 창원초교(3개소), 정의여중입구(4개소), 방학성원아파트(4개소) 등 보행량이 많은 지역을 포함해, 창동운동장, 도봉산역삼거리, 도봉청소년도서관, 방학역 앞 등 주민 밀집 지역이 고루 포함됐다. 이에 앞서 2024년에는 방학교남측, 우이교, 창동중, 농협창동유통센터, 도봉경찰서, 도
thumbnail - 이은림 서울시의원, 도봉구 전역에 ‘적색잔여신호기’ 2025년 31개소 확대 설치

종합적인 음악 사업 역량 및 제작 역량을 토대로 음악 산업의 혁신을 이끌 하이헷은 팝업이라는 특별한 오디션을 개최해 오디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앞으로의 오디션 일정 동안 역량을 갖춘 인재들의 참여를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