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 매출, 10년 만에 첫 감소

지상파 방송사 매출, 10년 만에 첫 감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6-19 14:33
수정 2024-06-19 14: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통위, 361개 사 재산 공표…방송 전체 4.7% 감소
지상파 방송 매출 10.2% 감소해 가장 큰 폭

이미지 확대
정부 과천종합청사 내 방통위
정부 과천종합청사 내 방통위
지난해 국내 방송사업자들의 전체 매출은 물론 광고 매출도 10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부분은 지상파 방송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 상황’을 19일 공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지상파, 유료 방송, PP 등 361개 방송사업자다.

이번에 공표된 방송사 재산 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2022년과 비교해 4.7% 감소한 총 18조 9734억원이다. 방송사업매출액은 지난 10년 동안 지속해 증가했지만 10년 만에 처음 감소했다. 사업자 군별로 보면 IPTV가 5조 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9억원 증가했을 뿐, 나머지 사업군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지상파는 10.2%나 줄어 3조 7309억원으로 집계됐고, PP(방송채널사업자)는 7조 1087억원, 위성은 4920억원, CP(콘텐츠제공사업자)는 8980억원, SO(종합유선방송사)는 1조 7335억원으로 나타났다.

방송광고 매출도 2022년에 비해 19% 감소한 2조 4983억원으로, 지난 10년 동안 방송광고 매출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매체별 광고시장 점유율을 보면 지상파는 2014년 57.4%에서 2023년 37.1%로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PP는 37.1%에서 54.4%로 증가했다.

방송사업자의 주요 수익원별 매출액 집계 결과 수신료, 재송신 매출, 프로그램 제공 매출, 홈쇼핑 송출 수수료는 늘어났지만, 광고, 협찬, 프로그램 판매 등은 감소했다. 지상파와 PP 등 콘텐츠 제작 주체가 프로그램 단위로 판매하는 매출의 경우도 2022년까지 증가세였으나, 지난해에는 520억원 감소한 2조 457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프로그램 제작비는 전년과 비교해 390억원 늘어나, 전체 방송사의 영업이익은 2022년보다 21.4% 감소한 3조 5억원으로 나타났다고 방통위는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