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무형유산 완초장 보유자 유선옥 씨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국가무형유산 ‘완초장’ 보유자로 유선옥(70) 씨를 인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완초장은 논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1~2년생 풀인 왕골로 돗자리, 방석, 작은 바구니 등의 공예품을 만드는 기능이나 장인을 말한다. 1996년 5월 1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왕골은 신라시대에 이미 사용됐고 고려 때에는 왕실에서 주로 사용했다. 조선시대에는 외국과의 중요한 교역품으로 쓰였다.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무형유산 완초장 보유자 유선옥 씨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유씨는 섬세하고 세밀한 제작기술로 전승 기량이 탁월하고 꾸준한 전승 활동을 이어 온 점을 인정받아 보유자로 최종 인정됐다. 유씨는 완초 재배 지역인 강화도 교동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완초 공예품 제작을 접해왔다. 1967년 완초장에 입문해 이후 스승이자 남편인 고 이상재 보유자에게 기능을 전수받아 57년 동안 완초 공예품 제작 기술을 익혔다. 2004년부터는 국가무형유산 완초장 전승교육사로 인정된 이후 부부가 함께 완초장 보전과 전승에 힘써왔다.
국가유산청은 “이상재 보유자가 세상을 떠난 이후 완초장 보유자 없었던 만큼, 이번 보유자 인정이 향후 전승 현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