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 없는 혼잣말이 타이밍 맞춰 튀어나왔습니다

알 수 없는 혼잣말이 타이밍 맞춰 튀어나왔습니다

입력 2023-01-01 17:32
수정 2023-01-02 06: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선 소감 - 김사사(본명 김소진)

이미지 확대
김사사(본명 김소진)
김사사(본명 김소진)
모든 게 그런대로 좋았다. 문득 잠잠해지는 애매한 오후와 바닥에 코를 박고 지나가는 커다란 개. 적당한 페이스로 조깅하거나 늦어지는 열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어떤 쓸모도 없이. 그건 내가 게으르고 느린 데다 복잡한 생각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아주 단순한 생활을 하고 싶었다. 아무런 엉킴 없이. 늘 보고 싶은 영화와 먹고 싶은 요리가 있었다. 오늘은 이런 영화를 보고 저런 요리를 먹은 뒤에 들뜬 기분으로 잠들 것이다, 같은 사소한 계획도 자주 했다. 그런 계획만으로 지내기 시작하자 혼잣말이 늘었다. 어떤 말들을 속삭이는 때가 자꾸만 늘어서 곤란했다. 어째서 그런 말들이 아래로부터 가득 차오르며 타이밍을 재다 튀어나오는 것만 같았는지.

그런대로 좋은 일들은 매번 있어서, 부지런히 조용한 관찰자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알 수 없는 혼잣말이 점점 더 길어지면서 그런 일은 글러 버렸고, 미묘한 이물감은 조금 더 가까워지고 분명해졌다. 그런대로 좋아 보이던 것들에는 많은 파열이 있고, 단지 고요한 척할 뿐이라는 걸. 따라서 긴 시간 숨어버린 사람들과 이야기들이 많다는 사실도. 그런 속삭임을 써보자는 건 지금부터의 사소한 계획. 이제 얼마만큼의 독백이 가능할까? 또 얼마만큼의 독백이 남았을까?

오래도록 함께 쓰고 싶은 지윤과 동비, 언제나 사랑하는 효정, 멀지만 가까운 가족들에게 인사를. 많은 것을 배우게 해 주신 교수님들과 이야기를 정성스럽게 읽어 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린다. 다시 태어나도 다시 만나고 싶은 J, 짧게 스쳐 지나갔지만 잊히지 않을 그간의 풍경들에도. 우리 모두 슬픈 마음을 조금씩 덜어내고 행복할 수 있기를.

■김사사(본명 김소진) ▲2000년 경북 경주 출생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휴학 중

2023-01-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