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향악단 최대 축제인 ‘2010 교향악 축제’가 지난달 막을 내렸다. 1989년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음악당 개관 1주년 기념으로 출발, 올해 22회째를 맞은 교향악 축제는 전국 18개 교향악단이 참여해 기량을 뽐냈다.
교향악 축제 22년사(史)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1991년 음대 입시 부정으로 협연자가 구속 기소되자 연주자를 부랴부랴 교체하는 촌극도 있었고, 준비 부족으로 막판에 참가를 포기한 악단도 있었다.
진전도 있었다. 1990년대까지는 ‘양적 확대’에 머물렀다면 2000년대에는 ‘질적 확대’가 이뤄졌다.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들은 경제적 풍족함을 토대로 질 좋은 교육을 받았고, 클래식 음악계는 이들 수준 높은 협연자를 수혈받았다.
관객층도 두터워졌다. 무료 초대권으로 객석을 채웠던 과거와 달리 지난해에는 첫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비록 단돈 1000원에 불과했지만 의미있는 흑자였다. ‘1000원 흑자’에는 대관료라는 기회비용이 포함됐다. 교향악 축제는 예술의전당이 기획·진행하는 까닭에 대관료가 실제 오고 가지 않지만 대관료 비용을 따져 셈한 것이다. 금액을 떠나 국·공립 단체의 음악 행사가 흑자를 남겼다는 사실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올해는 관객이 지난해보다 10%가량 줄었다. 천안함 사건과 6·2지방선거 여파로 주최 측은 해석한다. 지방 교향악단의 서울 공연은 지방자치단체의 대대적 홍보를 등에 업기 마련인데 올해는 그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 선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교향악 축제는 뒷전으로 밀린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지방악단 관계자는 6일 “지자체와 재경 향우회의 ‘공연 알리미’ 활동이 미약했다.”며 “정치 변수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공연계 현실이 안타깝다.”고 탄식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올해 교향악 축제에 젊은 인재들이 다수 발굴됐다는 점이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23), 박지윤(25), 김혜진(26), 플루티스트 최나경(27) 등 20대 협연자들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정동혁 예술의전당 음악부장은 “관객이 다소 감소해 아쉬움도 있지만 젊은 예술가들이 훌륭한 연주를 선보여 실력 면에서는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고 자평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교향악 축제 22년사(史)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1991년 음대 입시 부정으로 협연자가 구속 기소되자 연주자를 부랴부랴 교체하는 촌극도 있었고, 준비 부족으로 막판에 참가를 포기한 악단도 있었다.
진전도 있었다. 1990년대까지는 ‘양적 확대’에 머물렀다면 2000년대에는 ‘질적 확대’가 이뤄졌다.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들은 경제적 풍족함을 토대로 질 좋은 교육을 받았고, 클래식 음악계는 이들 수준 높은 협연자를 수혈받았다.
관객층도 두터워졌다. 무료 초대권으로 객석을 채웠던 과거와 달리 지난해에는 첫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비록 단돈 1000원에 불과했지만 의미있는 흑자였다. ‘1000원 흑자’에는 대관료라는 기회비용이 포함됐다. 교향악 축제는 예술의전당이 기획·진행하는 까닭에 대관료가 실제 오고 가지 않지만 대관료 비용을 따져 셈한 것이다. 금액을 떠나 국·공립 단체의 음악 행사가 흑자를 남겼다는 사실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올해는 관객이 지난해보다 10%가량 줄었다. 천안함 사건과 6·2지방선거 여파로 주최 측은 해석한다. 지방 교향악단의 서울 공연은 지방자치단체의 대대적 홍보를 등에 업기 마련인데 올해는 그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 선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교향악 축제는 뒷전으로 밀린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지방악단 관계자는 6일 “지자체와 재경 향우회의 ‘공연 알리미’ 활동이 미약했다.”며 “정치 변수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공연계 현실이 안타깝다.”고 탄식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올해 교향악 축제에 젊은 인재들이 다수 발굴됐다는 점이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23), 박지윤(25), 김혜진(26), 플루티스트 최나경(27) 등 20대 협연자들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정동혁 예술의전당 음악부장은 “관객이 다소 감소해 아쉬움도 있지만 젊은 예술가들이 훌륭한 연주를 선보여 실력 면에서는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고 자평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5-07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