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모델들의 ‘두 얼굴’

광고 모델들의 ‘두 얼굴’

입력 2011-07-20 00:00
수정 2011-07-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까탈 부리는 아이돌 감동 주는 非아이돌

광고주와 연예기획사 간의 갑을 관계 역전은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다. 광고물량이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시장이 작은 패션업계에서는 특히 ‘슈퍼 갑’으로 통하는 게 연예기획사이다.

이미지 확대
얼마 전 한 액세서리 업체와 화보 촬영을 진행한 걸그룹의 인기 멤버는 촬영장에서 “못하겠다.”며 심하게 까탈을 부렸다. 가을·겨울을 겨냥해 내놓은 가방, 팔찌, 모자, 목도리 등 다양한 액세서리를 착용하고 예쁜 표정을 지어야 하는데 “컨셉트가 맘에 들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짜증을 부렸던 것. 광고대행사는 아이돌 모델이 중도작파하고 촬영장을 떠나지 않은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했다.

정작 사달은 촬영이 끝난 뒤에 벌어졌다. 촬영장에서는 휴대전화와 디지털 카메라 소지를 금지하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보정 전 사진이 언론에 유출된 것이다. 기획사 측에서는 “소송하겠다.”고 엄포를 놨고, 광고대행사는 이 사진을 인터넷에서 없애느라 진땀을 빼야 했다.

스타마케팅 의존도가 높은 패션업계는 인기 아이돌 모델을 ‘울며 겨자 먹기’로라도 써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해외 사업을 하는 패션이나 화장품 브랜드는 한류 모델 기용이 필수다. 기존의 지명도 있는 배우 등은 너무 이미지가 소모되어 화제를 낳으려면 아이돌 모델이 제격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부 연예기획사는 “사진을 뽀샤시하게(뽀얗고 예쁘게) 보정해라.” “단발성 촬영은 안 되고 최소 6개월 이상 전속 모델로 해야 한다.” “아이돌 그룹 멤버 모두를 모델로 써야 한다.” 등 온갖 조건을 내건다.

제품 발표회 장에서 거액의 몸값을 주고 기용한 아이돌이 제대로 인사말을 못 하거나 제품의 특징을 전혀 파악하지 못해 광고주를 울리는 일도 다반사다.

이에 비해 최근 한 청바지 브랜드의 광고 모델을 맡은 배우 한채영은 화보 촬영 날짜를 조정해 신제품 발표회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먼저 밝혀와 업계에서 화제가 됐다. 촬영장에서도 깔끔한 매너로 광고 사진을 완성했다는 후문이다.

패션계의 유명인 또는 스타 마케팅은 가장 효과 높은 광고기법이자 유서 깊은 마케팅 전략이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아이돌이 스캔들 하나에 소리없이 사라지듯 애써 만든 브랜드 하나가 잘못된 광고 모델 기용으로 망가질 수도 있다.

문화마케팅업체 위드컬처의 백연주 팀장은 “화장품, 패션, 액세서리 등의 모델이 여배우에서 아이돌로 교체되면서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난이 있다.”면서 “아이돌도 인생 경험이 짧다 보니 브랜드 철학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소속사 입김에 휘둘리는 경우가 많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자도 아이돌 모델에 익숙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7-2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