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촌스럽다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자!

한글이 촌스럽다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자!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3-19 22:24
수정 2017-03-19 2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상수 시각 디자이너 ‘날개.파티’展

“한글이 촌스럽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한글은 모든 문자 중에서 가장 완벽하고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문자입니다.” 한글 글꼴 ‘안상수체’(혹은 안체)를 만든 시각 디자이너 안상수(65)는 “한글이 지닌 힘을 믿는다”고 했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날개.파티’ 특별전에서는 한글의 조형성을 끊임없이 탐구해 온 한국 대표 글꼴 디자이너 안상수가 지금까지 펼친 다양한 작업을 통해 한글의 아름다움과 힘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이 원로작가의 성과와 자취를 돌아보기 위해 격년마다 열고 있는 ‘SeMA Green’의 일환으로, 전시 제목은 안상수의 호 ‘날개’와 그가 만든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PaTI)의 영어 약칭을 합쳐 만들었다.
한국의 대표 글꼴 디자이너 안상수의 정체성은 1985년 발표한 ‘안상수체’에서 시작한다. 한자의 그늘에 가려진 한글을 현대적으로 탈바꿈시키고, 한글의 조형성을 깨우치게 한 첫 시도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의 대표 글꼴 디자이너 안상수의 정체성은 1985년 발표한 ‘안상수체’에서 시작한다. 한자의 그늘에 가려진 한글을 현대적으로 탈바꿈시키고, 한글의 조형성을 깨우치게 한 첫 시도로 평가되고 있다.
아래위가 붙은 남색 작업복에 빨간 털모자를 쓴 안상수는 “내 인생을 세 시기로 나누면 처음 20년은 부모님 아래서 성장한 시기였고, 그다음 20년은 디자이너로 활동했고, 나머지 20년은 홍익대에서 교육자로 지냈다”면서 “나이 예순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학교 ‘파티’를 설립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글의 창조정신을 중심에 두고, 가장 우리다운 교육을 찾아 실험하고 실천하는 디자인 공동체이자 교육협동조합”이라고 ‘파티’를 소개하고 “내후년 창립 100년을 맞는 독일의 조형학교 바우하우스처럼 역사적인 콘텐츠를 남길 수 있도록 학교를 디자인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화와 같은 형상과 한글이 뒤섞인 한글 문자도 ‘홀려라’ 앞에 선 안상수.
민화와 같은 형상과 한글이 뒤섞인 한글 문자도 ‘홀려라’ 앞에 선 안상수.
한글을 근간으로 하는 전시는 크게 ‘날개’와 ‘파티’의 두 파트로 나뉜다. ‘날개’에서는 문자에 내재한 여러 시각요소를 결합하고 반응시켜 우리의 문자지각을 공감각적으로 자극하는 안상수의 작품세계 전반을 살펴볼 수 있다. 디자이너로서 안상수의 정체성을 알린 ‘안상수체’(1985)부터 최근의 한글 문자도 ‘홀려라’까지 다양한 한글 작업이 선보인다. ‘안상수체’는 한글을 네모 틀의 질서에서 해방시키고 오랫동안 한자의 틀에 갇혀 있던 한글을 현대적으로 탈바꿈시킨 첫 시도라는 의미를 지닌다.
안상수가 설립한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PaTI)는 한글의 창조정신을 중심에 두고 우리다운 교육을 실현하는 디자인공동체다. 설치물은 ‘파티’의 정신과 커리큘럼, 그간의 성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안상수가 설립한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PaTI)는 한글의 창조정신을 중심에 두고 우리다운 교육을 실현하는 디자인공동체다. 설치물은 ‘파티’의 정신과 커리큘럼, 그간의 성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캔버스에 아크릴로 쓴 ‘홀려라’는 민화의 문자도와 한글을 뒤섞은 신(新)문자도로 작가로서 안상수의 시작을 의미하는 작품이다. “무언가에 홀려버리는 상태가 있는 것 같아요. 홀리면 어떤 대상이 꿈에서도 나타나고 밥 먹을 때 떠오르기도 하죠. 연애도 홀려서 하는 거잖아요. 이러한 몰입은 창작자로서 가져야 할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홀려라’는 안상수와 파티가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이기도 하다.

‘한글무늬기둥’은 문자에 내포된 의미와 기호 사이의 관계에 대항해 만든 작품으로 구체적인 의미 없이 새로운 상상력의 통로를 만들어 준다. 경기 안성시에서 해마다 열리는 죽산국제예술제의 1995년부터 14년 동안 만들어진 죽산국제예술제 포스터와 ‘웃는돌’ 로고에서는 그래픽 디자이너 안상수의 방법론을 볼 수 있다. 실크스크린 오마주는 그의 예술세계에 영향을 준 세 명의 인물(마르셀 뒤샹, 마오쩌둥, 이상)을 그의 문자 ‘ㅎ’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이 밖에 타이포그라피, 편집 디자인, 벽면 드로잉과 설치작업, 소리를 시각화한 도자기 타이포그라피 작업 등이 전시장을 채웠다.

‘파티’ 전시는 2012년 2명의 학생과 함께 시작한 예비학교를 거쳐 지난 2월 14명의 첫 졸업생을 배출하기까지 축적해 온 교육적 성과와 기록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다이어그램, 영상, 사진, 책자 등으로 꾸몄다. 손과 몸을 중시하는 실기학교인 파티는 수업 커리큘럼도 스승과 학생이 함께 만들고 다양한 외부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고 경험함으로써 배움을 완성한다. 전시에서는 그동안 실험적으로 진행된 100여개의 커리큘럼 카드와 주요 커리큘럼을 선별해 구체적인 결과물을 소개한다.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참여한 다양한 프로젝트 결과물도 보여 준다. 전시는 5월 14일까지. 관람료는 무료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글 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3-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