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작곡가 손끝에서 나온 국악 ‘고블린 게임’...국립국악원 ‘이면과 공감’

미국 작곡가 손끝에서 나온 국악 ‘고블린 게임’...국립국악원 ‘이면과 공감’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09-20 13:59
수정 2019-09-20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 작곡가들의 손끝에서 나온 국악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무대가 관객을 찾는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정기공연 ‘이면과 공감’. 국립국악원 제공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정기공연 ‘이면과 공감’. 국립국악원 제공
국립국악원은 오는 27∼28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창작악단 제98회 정기공연 ‘이면과 공감’을 통해 국내외 작곡가들의 실험적인 국악관현악 작품을 선보인다. 한국 전통음악을 바라보는 외국 작곡가의 시각과 전통의 동시대성을 고민한 한국 작곡가 작품을 함께 감상하도록 구성했다.

외국 작곡가로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작곡과의 에드먼드 캄피온 교수, 미국 인디펜던츠 뮤직어워드 작곡상 등을 수상한 제프 페어뱅크스,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데이비드 에반 존스 교수가 참여했다.

캄피온 교수는 한국 전통 악기 구조와 연주에서 비롯되는 숫자의 비율에 천착해 ‘오디블 넘버스’(Audible Numbers)를 작곡했다. 수(數)와 음악의 독특한 연결고리를 표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페어뱅크스는 한국 도깨비에서 모티프를 얻어 피리 연주곡 ‘고블린스 게임’(Goblin‘s Game)을 만들었으며, 존스 교수는 국악을 접하며 느낀 감정을 표현한 ‘드림스 오브 폴링’(Dreams of Falling)을 헌정했다.

국내 작곡가 작품으로는 이건용의 ‘산곡’과 이해식의 ‘피아노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춤두레 제1번’을 연주한다.

작곡가와 대화의 시간도 마련된다. 27일에는 이건용과 캄피온이, 28일에는 이해식과 페어뱅크스가 참여한다. 사전 신청한 관객은 선착순 20명까지 무료로 강의를 들을 수 있다. 관람료 1만∼3만원.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