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자의 미학’을 추구해 온 건축가 승효상의 30년 작업을 총망라한 개인전 ‘승효상.ZIP: 감성의 지형’이 서울 중구 장충동 복합문화공간 ‘파라다이스집(ZIP)’에서 이달 29일까지 열린다. 파라다이스문화재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대표작인 수백당(1999), 하양 무학로 교회(2018) 등 건축 모형 21점과 사유원 명정(2019), 추사관(2010) 등의 흑백 사진 72점을 통해 작가의 건축 세계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리다.
전시장 전경. 사진 김종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전시장 전경. 사진 김종오
비움과 절제를 핵심으로 삼은 그의 건축 철학은 한 세대를 거치며 “우리의 선함, 진실됨, 아름다움을 날마다 새롭게 발견하게 하는 건축이 좋은 건축”이라는 지론으로 이어졌다. 전시 제목인 ‘감성의 지형’은 “건축은 단지 외관을 짓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짓는 것”이라는 한 단계 더 발전된 화두를 제시한다. 전시 공간인 파라다이스집은 80년이 넘은 고택을 승효상 건축가가 2016년에 리모델링한 것이다. 바로 앞에는 그가 2000년 설계한 웰콤시티(현 디자인하우스 사옥)가 있다. 2층 전시장 창문을 사이에 두고 건축가의 두 작품을 동시에 볼 수 있어 흥미롭다. 무료 관람.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2-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