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물린 듯 아픈 괴질… 선조들의 처방은 거리두기와 ‘이것’?

쥐 물린 듯 아픈 괴질… 선조들의 처방은 거리두기와 ‘이것’?

김정화 기자
입력 2021-11-29 17:16
수정 2021-11-30 0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역병, 일상’ 특별전

콜레라 치료 위해 고양이 그림 붙이고
짚말 만들어 굿하고 태운 흔적 등 눈길

이미지 확대
1821년 조선에 창궐한 콜레라는 ‘괴질’로 불렸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상한 병이라는 뜻이다. 콜레라가 쥐에게 물린 통증과 비슷하다고 여긴 조선인들은 이를 치료하기 위해 대문에 고양이 그림을 붙였다. 몸 안에 들어온 쥐 신(神)을 내쫓기 위해서다. 19세기 프랑스 인류학자 샤를 바라가 ‘조선 기행’에 기록한 당시의 풍습이 이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반도를 공포에 떨게 한 역병과 그 대처법을 다룬 전시가 눈길을 끌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역병 속에서도 일상을 살아낸 이들의 이야기를 조명하는 특별전 ‘역병, 일상’을 내년 2월 28일까지 선보인다. 역병에 관한 과거 기록은 물론 일상을 회복하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을 담은 자료 158건, 353점이 전시된다.

이 가운데 ‘노상추 일기’와 ‘묵재 일기’가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노상추 일기는 조선 후기 무관인 노상추(1746~1829)가, 묵재 일기는 조선 중기 문신 묵재 이문건(1494~1567)이 쓴 것이다. 특히 노상추 일기는 그가 17세부터 사망 직전까지 무려 67년간 기록한 것인데, 조선 시대 역병에 대한 인식과 치료법 등이 상세히 나와 있어 의학사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자료다. 개인의 일기뿐 아니라 조선이 생산한 공식 기록인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도 ‘두창’과 ‘여역’(돌림으로 앓는 열병) 등의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역병이 도는 것을 막으려 한 옛 사람들의 노력도 엿보인다. 조선 때도 역병이 돌면 조용하고 산수가 맑은 곳으로 피접(避接)을 가고, 집 안에서 스스로 격리하는 일이 빈번했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자가격리와 유사하다. 두창에 대한 공포를 굿으로 달랜 ‘마마배송굿’ 풍습도 접할 수 있다. 당시 사람들은 짚말(사진)을 만들고 굿을 한 뒤 이를 태웠는데, 여기엔 역병을 멀리 실어 보낸다는 의미가 담겼다.

전시는 전염병이 일상이 된 세상에서 ‘다시 함께의 가치’도 강조한다. 조선 시대 시골 양반이 마을의 안정을 바라며 지은 제문과 오늘날 동네에서 방역 활동을 하는 자율 방범대의 모습이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나훈영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역병은 인류 역사에서 반가운 존재는 분명 아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면서도 “역병이 유행할 때마다 일상을 되찾기 위해 우리는 함께 지혜를 발휘해 왔다”고 말했다.

2021-11-3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