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미술관에서 만나는 폭포

[포토] 미술관에서 만나는 폭포

입력 2025-02-24 15:29
수정 2025-02-24 15: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간 옛사람들의 자취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자리가 열린다.

국가유산청은 세종문화회관과 함께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1관에서 ‘미음완보(微吟緩步), 전통 정원을 거닐다’ 전시를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미음완보는 조선시대 문인 정극인(1401∼1481)이 지은 가사 ‘상춘곡’(賞春曲)에 나오는 글귀로, 자연과 교감하고 내면을 바라보는 심미적 과정을 담은 말이다.

전시는 한국의 전통 정원을 찬찬히 들여다볼 수 있도록 돕는다.

국가유산청이 2021년부터 전통 조경을 정밀 실측·조사하며 축적해 온 데이터를 활용해 옛사람들이 꾸민 정원과 자연경관을 디지털 기술로 생생하게 구현했다.

지난해 서울 일민미술관에서 한시적으로 열린 전시를 다시 선보이는 것이다.

전시장 곳곳에서는 자연을 만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계단식 툇마루에 앉아 전통 정원과 자연의 풍광을 감상하고, 명승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을 옮겨놓은 듯한 6m 높이의 폭포 영상을 접할 수 있다.

네모난 연못 안에 둥근 섬을 둔 정원 양식인 방지원도(方池圓島), 국가민속문화유산 ‘논산 명재고택’의 석가산을 본뜬 3차원 모형 등도 소개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창덕궁 후원의 면면도 화면 위로 펼쳐진다.

주변 자연과의 조화가 어우러진 후원의 사계절 모습, 고산(孤山) 윤선도(1587∼1671)가 보길도의 자연에 감동해 만든 원림(園林) 풍경을 담은 미디어 아트 영상이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날 오후 세종문화회관과 한국의 자연유산을 널리 알리고 관련 콘텐츠를 홍보하는 데 협력하자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전시는 4월 27일까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