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이미지. 123rf
다크 초콜릿에 들어있는 쓴맛 성분이 뇌의 경보 시스템을 자극해 기억력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공부나 중요한 회의 직전에 다크 초콜릿을 먹으면 내용을 더 잘 기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일 과학 매체 스터디파인즈에 따르면, 일본 시바우라공업대 연구팀이 쥐를 대상으로한 실험에서 다크 초콜릿의 기억력 향상 효과가 밝혀졌다. 연구 결과는 지난 9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리서치 인 푸드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쥐에게 학습 과제를 주기 전 다크 초콜릿의 플라바놀 성분을 투여했다. 플라바놀은 다크 초콜릿에 들어있는 쓴맛을 내는 화합물이다.
실험 결과 플라바놀을 투여한 쥐들의 기억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익숙한 물체는 무시하고 새로운 물체를 탐색하는 데 관심을 보여 기억력이 향상됐음을 입증했다.
그런데 이 효과는 플라바놀이 혈액을 통해 뇌에 흡수되기 때문이 아니라 뇌의 각성 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초콜릿 사진. 123rf
연구팀은 이 현상이 미각에 의해 작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떫은맛 같은 자극적인 맛이 감각 신경을 자극하면 뇌의 경보 시스템인 청반핵이 활성화된다.
그러면 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기억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쥐에게서 이런 효과는 한 시간 안에 나타났다. 이는 해마가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간대와 일치한다.
다만 사람에게도 같은 효과가 나타날지는 불확실하다. 쥐 실험에서는 고용량의 플라바놀을 투여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통상 먹는 초콜릿 양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다크 초콜릿을 한 번 섭취했을 때의 효과만 확인됐다. 여러 번 섭취할 경우에는 반복적인 자극에 내성이 생겨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약해질 수 있다.
부작용도 향후 검토 과제로 남았다. 다크 초콜릿 섭취로 나타나는 단기 스트레스 반응은 긍정적이지만, 스트레스 호르몬이 장기간 높게 유지되면 불안과 수면 문제로 이어지거나 심혈관에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한 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된다는 점은 학생이나 직장인에게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공부나 중요한 회의 직전에 플라바놀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내용을 더 잘 기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