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곱창 요리. 아이클릭아트
한국인들이 즐겨 찾는 곱창은 쫄깃하고 고소한 맛으로 사랑받는다. 하지만 서구권에서는 기피 음식으로 꼽힌다.
그런데 최근 서구 국가들이 곱창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환경 보호와 건강 증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3일(현지시간) 서구 국가에서 내장육 소비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에서는 동물의 ‘코에서 꼬리까지’ 먹는 식문화가 확산 중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동물의 희생을 존중한다는 취지에서다.
서구권 육식 소비자들은 주로 동물의 근육 조직을 먹는다. 심장, 간, 신장 같은 내장 부위는 기피한다.
그래서 현지에서 생산되는 내장의 상당량이 수출된다. 내장은 스테이크나 양 다리살 같은 다른 부위보다 훨씬 저렴하다.
이 때문에 내장이 저품질 고기라는 잘못된 인식이 생겼다. 비싼 부위를 살 형편이 안 되는 사람들이 선택한다는 편견도 생긴다.
하지만 내장을 더 많이 먹으면 식용으로 도축하는 동물 수를 줄일 수 있다.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소로도 이어진다.
영양학적으로도 내장육이 우수하다.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 필수 지방산이 풍부하다. 일반 고기보다 영양소가 더 많다. 간 100g에는 하루 권장 철분의 36%가 들어있다. 같은 양의 다진 고기는 12%에 불과하다.
조리 전 곱창. 아이클릭아트
지속 가능한 식생활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특히 고기를 좋아하는 남성들에게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서구권 소비자들이 내장육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일은 예상보다 어렵다. 내장을 먹어본 적 없는 사람들은 생각만으로도 역겹다고 느낀다. 오염됐다고 여기기도 한다. 아이들도 먹을 만한 맛있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몰라서 꺼리는 사람도 많다.
연구진은 영국 육식 소비자 39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내장을 그대로 먹는 것과 다진 고기에 간이나 신장을 섞은 고기에 대한 의견을 비교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순수 내장 요리에 더 긍정적이었다. 다진 고기에 섞인 내장에 대해서는 남녀 의견이 비슷했다.
음식을 고를 때 건강을 우선하는 사람들은 내장 요리가 더 맛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새로운 음식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정반대 양상을 보였다.
내장 섭취에는 사회적 낙인도 작용한다. 타인에게 비치는 자신의 모습을 관리하려는 경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내장 요리에 부정적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