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위 별 위해 무대 뒤 숨은 별

무대 위 별 위해 무대 뒤 숨은 별

입력 2013-06-21 00:00
수정 2013-06-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주자보다 먼저 연주자보다 늦게까지… 최고의 클래식 무대 준비하는 서울시향의 숨은 주역

공연을 앞두고 연주자보다 먼저 움직이고 제일 마지막에야 무대를 닫는 사람들이 있다. 관객들에게 한 치의 실수도 없는 감동을 전하기 위해 무대 뒤에서 땀을 쏟는 ‘숨은 주역’을 만났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이 펼치는 모든 공연마다 악기를 배치·관리하는 김양수(50) 무대감독(악기전문위원 겸임)과 단원들의 악보를 책임지는 김보람(31) 악보전문위원이다.

김양수(왼쪽) 서울시립교향악단 악기전문위원과 김보람 악보전문위원이 지난 17일 연습실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서울시향은 재단법인으로 출범한 지난 2006년부터 악기와 악보 관리, 공연 기획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직원 4명에게 전문위원이라는 직함을 붙였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김양수(왼쪽) 서울시립교향악단 악기전문위원과 김보람 악보전문위원이 지난 17일 연습실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서울시향은 재단법인으로 출범한 지난 2006년부터 악기와 악보 관리, 공연 기획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직원 4명에게 전문위원이라는 직함을 붙였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대북, 마림바, 글로켄슈필 등 서울시향이 소장하고 있는 300여개의 악기를 하나하나 모두 머릿속에 넣고 무대를 꾸미는 사람이 있다. 김양수 무대감독이다. 그의 악기 관리 능력은 시향 내에서도 ‘천재적’이라 할 만큼 소문이 자자하다.

“공연 때면 감독님은 어떤 악기가 몇 번 상자에 들어 있는지까지 다 외우세요. 연주자 개인 악기도 누구 것인지 다 골라낼 정도죠.”(웃음·김보람 위원)

대학 때 유도를 전공해 체격이 좋은 그이지만 악기 앞에서만큼은 누구보다 섬세한 남자가 된다. “표면이 가죽인 팀파니나 현악기인 콘트라베이스, 하프 등은 온도나 습도에 따라 소리 차이가 큰 예민한 악기라 관리하기가 힘들어요. 그래서 이동하거나 무대에 배치할 때 제일 긴장되죠.”

그에게 가장 뜻깊었던 순간은 2010년 유럽 9개 도시를 도는 연주 투어에 나섰을 때다. “5t 규모의 탑차 8대 분량의 악기를 싣고 갔어요. 악기 상자만 100여개가 나왔죠. 유럽은 다 옛날 극장이라 구조도 미로같고 시설도 열악해 악기도 다 손으로 들고 무대에 올려야 했어요. 저는 새벽부터 먼저 가서 극장 특징을 다 파악하고 악기 위치를 계산해놔야 했는데 그렇게 고생하고 무사히 공연을 마치니 뿌듯하더군요.”

김 감독은 36살에야 시향에 처음 발을 들였다. 그전까지는 클래식 음악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하지만 시향 무대를 책임진 지 15년째 접어든 지금, 그는 웬만한 곡은 악기 편성을 모두 외울 정도로 내공이 쌓였다.

후회한 적이 없느냐는 물음에 김 감독은 너털웃음을 지었다. “남들은 돈 주고 들으러 오는 좋은 음악 실컷 듣는데…. 재미있잖아요?”

김보람 악보전문위원은 악보에 살고 악보에 죽는다. 공연 프로그램이 나오면 가장 먼저 움직이는 게 그다. 시향이 보유하고 있는 악보인지 아닌지부터 파악한다. 없으면 구입할지, 대여할지를 결정하고 주문한다. 이렇게 구한 악보는 리허설 1시간 전 무대감독이 정한 연주자 자리 앞의 보면대에 하나하나 다 놓아주고 공연이 끝나면 다시 다 거둬들인다. 거둔 악보는 심포니, 오케스트라, 콘체르토, 작곡자별로 분류해 자료실에 정리해둔다. 대여한 곡을 반납하는 것도 그의 몫이다. 많게는 100여명이 넘는 연주자들의 악보를 다 챙겨야 하는 만큼 아찔했던 순간도 많다.

“관악기 파트는 같은 악기라도 연주자마다 곡이 다 달라요. 그런데 단원 한명이 해외에 악보를 갖고 나갔다가 호텔에 두고 온 사이 호텔 청소원이 다 버렸다는 거예요. 한국에 와서 악보가 없어졌다고 얘기하는데, 리허설 며칠 전에 구하느라 소동이 벌어졌죠.”

공연이 많은 연주자들은 악보를 안 가져갔다고 우기는 경우도 흔하다. “그럼 제가 ‘가방 열어 보세요’ 해요. 그러면 늘 거기 있곤 하죠.”(웃음)

김 위원은 원래 음악도였다. 중학교 땐 플루트를, 고등학교 땐 트롬본을 쥐었다. 이화여대에서 트롬본을 전공했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트롬본 연주자는 오케스트라에서 3~4명밖에 모집하지 않는 데다 체력도 많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악기는 그만두더라도 음악은 계속할 수 있었으면 했다”는 그는 2005년 서울시향에서 악보계 보조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 들어와 2년 뒤 정단원으로 자리를 잡았다.

“관객들이 기립 박수를 보내주시면 제가 무대 위에 서 있는 것도 아닌데 감격하곤 해요. 연주자는 아니어도 악단에 속해 있다는 것만으로도 정말 행복합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2013-06-2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