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정동극장서 내년 1월 1일까지 공연
국립정동극장 제공
연극 ‘더 드레서’ 김다현(왼쪽)과 송승환.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영국의 한 극장.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을 연기할 노배우, 선생님의 상태가 심상치 않자 무대감독은 서둘러 공연을 취소하려고 한다.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무대감독을 선생님 옆에서 16년간 드레서(의상 담당자)로 일한 노먼은 극구 말린다. 극단과 관객. 무대를 기다려 온 많은 사람들을 언급하며 선생님이 무대에 오를 수 있다며 ‘덧없는 희망’에 호소한다.
국립정동극장에서 공연 중인 연극 ‘더 드레서’의 많은 장면과 대사들이 어쩐지 지금과 꼭 들어맞는다. 급기야 공습경보까지 울려대는 극장 안에도 여전히 관객들이 꽉 차있다는 장면을, 전대미문의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지금 가득 찬 객석이 지켜본다. 왜 공연을 계속 해야하는지에 대한 물음은 무대 안에서만 아니라 밖에서도 꾸준히 따라온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연극 ‘더 드레서’.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연극 ‘더 드레서’.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연극 ‘더 드레서’ 송승환.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재연 무대에선 오만석, 김다현이 드레서로 살갑고도 재치있는 노먼을 연기하며 이야기를 풀어간다. 전혀 다른 배경과 상황이지만 지금과 너무나 닮은 무대 안의 무대를 지켜보며 느끼는 긴장감도 재미를 더한다. 공연은 내년 1월 1일까지 이어진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