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의 대통령】 미셀 팽송·모니크 팽송 샤를로 지음 프리뷰 펴냄
표지를 열어 차례를 살펴보면 각 장의 제목은 이렇다. ‘부자들을 지켜라’, ‘소수 엘리트 손에 들어간 권력’, ‘텔레비전을 통치의 도구로’, ‘기업 변호사 대통령’, ‘공과 사를 구분 않는 대통령’, ‘교묘한 화술’이다. 누굴까.내용도 그렇다. 집권 뒤 부자감세를 추진했다. 서민을 위해 쓸 돈이 부족하다는 말이 나오자 “부자와 가난한 사람을 대립시키는 일을 그만 두라.”고 화낸다. 그러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자 서민들을 위한다는 제스처가 필요해졌다. 몇 가지 쇼, 그러니까 그럴싸한데 별 효과는 없는 정책들을 늘어놓는다. 이 쇼가 성공하려면 이미지 조작은 필수다. 해서 민영 방송사를 탄생시키고, 공영방송의 광고를 중단시켜 이 광고를 민영 방송사에 몰아주고, 공영방송의 시청료 인상을 추진하고, 정부에 호의적이지 않은 유명인을 TV 프로그램에서 하차시킨다. 대체 누굴까.
누군가가 머릿속에 번쩍 떠올랐다고 해서 “아니 어디 감히….”라며 불경죄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 반대로 이제는 욕하는 것조차 지겹다는 사람도 미리 손사래 칠 필요는 없다. ‘부자들의 대통령’(미셀 팽송·모니크 팽송 샤를로 지음, 장행훈 옮김, 프리뷰 펴냄)이 다루는 인물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다.
저자들의 결론은 하나다. 당신도 부자처럼 하라는 것. 부자들은 어떻게 하나. 철저한 계급적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인다. 오, 계급이라니. 그런 표현은 계급 갈등과 사회혼란을 부추기는 불온세력, 요즘 유행하는 말로 종북좌파나 쓰는 단어 아니던가. 그런데 저자는 이런 말도 소개한다. “계급투쟁이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현실이다. 그러나 이 전쟁을 주도하는 것은 내가 속한 부자 계급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싸움에서 이기고 있다.” 누가 했을까.
투자의 현인이라는, 어쩌면 자본주의 체제의 최고 수혜자인 워런 버핏이다. 왜 버핏이 이런 얘기를 할까. ‘계급’이란 단어를 부활시킨 것은 불온 세력이 아니라 우파 부자들의 무절제한 탐욕이란 사실을 지적하는 게 아닐까. 날이 갈수록 강남 몰표 현상이 뚜렷해지는 한국 사회는 어떨까. 1만 45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1-21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