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러리는 최음제 채소에 얽힌 역사

셀러리는 최음제 채소에 얽힌 역사

입력 2012-09-29 00:00
수정 2012-09-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근.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다】 리베카 룹 지음 시그마북스 펴냄

오래전 셀러리는 ‘비아그라 채소’였다. 프랑스의 마담 퐁파두르는 셀러리의 최음 효과를 염두에 두고 루이 15세에게 셀러리 수프를 먹였고, 전설적인 엽색가 카사노바는 정력을 키우기 위해 셀러리를 먹었다고 한다. 비밀은 셀러리가 품고 있는 안드로스테론에 있다. 남성의 몸에 들어간 안드로스테론은 여성들을 유혹하는 페로몬으로 작용한다. 몇몇 저서들이 “데이트 전의 셀러리 몇 줄기가 미온적 태도와 뜨거운 밤의 차이를 불러온다.”고 적은 이유다.

지금이야 채소가 가진 효능이 과학적으로 속속 입증되고 있지만, 불과 수 세기 전만 해도 채소에 대한 지나친 추종과 맹신, 혹은 부정적인 선입견이 공존했다. 미국의 과학 저술가 리베카 룹이 쓴 ‘당근,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다’(박유진 옮김, 시그마북스 펴냄)는 이처럼 우리와 친숙한 20가지 채소들이 밟아 온 역사 속 뒷이야기들을 풀어내고 있다. 채소의 발견과 전파 과정, 그리고 인간과 사회에 미친 영향 등을 문화사적 맥락에서 탐구하고 있다.

아스파라거스는 남성 생식기를 빼닮은 ‘외설스러운’ 외모 때문에 강정제로 인식돼 왔다. ‘전설적인 성애 교본’ 카마수트라 등에서 최음제로 추천됐고, 비교적 최근인 19세기까지도 프랑스의 신랑들이 첫날밤을 맞기 전 세 코스에 걸쳐 아스파라거스 요리를 즐겼다고 한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이런 ‘전설적인’ 강정 효과는 없다. 다만 제주대에서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이 간의 주요 효소 활성도를 높이고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냈다. 술꾼들에게 유익하다는 얘기다.

사람 손에 명운이 걸린 채소도 있다. 옥수수다. 지구 전체 먹거리의 5분의 1을 담당한다는 식물이지만 사람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다. 낱알을 감싼 껍질때문이다. 단단한 껍질에 쌓인 낱알들은 땅에 떨어져도 흩어지지 않는다. 결국 낱알들은 옥수수 크기 만한 땅에서 햇빛과 양분, 물을 두고 서로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다 공멸하고 만다. 이런 이유로 식물학자들은 옥수수를 ‘기형 생물’이라 부른다는데, 어딘가 기형적인 교육열과 무한경쟁에 시달리는 반도의 땅의 데자뷔처럼 느껴진다. 1만 5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09-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