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바람길

[길섶에서] 바람길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5-07-23 23:49
수정 2025-07-24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와 스플리트, 몬테네그로의 코토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스타르 등 로마·중세 시대에 지어진 성곽도시를 다녀왔다. 아름다운 풍경과 구시가지에 매료됐지만 바람길도 인상적이었다. 날이 너무 더워서 그랬나 보다.

성벽 두께나 높이를 다르게 해 바다나 강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도시 내부로 유도했다. 성벽 내부 골목길은 살짝 휘어졌다. 들어온 바람이 좀더 오래 머무르도록 하기 위해서란다. 그러고 보니 우리나라 옛 성벽들도 휘어져 있다.

직선대로에 고층 빌딩이 많아지면서 빌딩풍이 생겼다. 강물이 좁은 수로에서 물살이 빨라지듯 바람도 빌딩숲을 만나면 속도가 빨라진다. 태풍 불 때 빌딩풍 발생으로 이런저런 피해가 발생한다. 인재다. 빌딩풍을 줄이기 위해 빌딩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고 바람 구멍을 만들기도 한다. 고층 빌딩 건축 허가에 이런 요소가 얼마큼 포함될까.

빌딩은 높아지고 냉난방·환기를 위한 기계설비가 기본이 돼 가는 현대. 지구온난화로 인한 극한기후에 기계가 더 필요해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갇혀 버렸다.
2025-07-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