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설화와 김만덕

제주 설화와 김만덕

입력 2012-12-08 00:00
수정 2012-12-08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길언 장편 ‘꿈은 누가 꾸는가’

거상 김만덕과 얽힌 이야기는 넘쳐난다. 천한 관기의 신분에서 벗어나 객사를 열고 무역으로 큰 돈을 벌고, 흉년으로 굶주린 주민을 위해 식량을 내놓아 생명을 구한 파란만장한 삶은 어떤 얘기로 풀어도 매력적이다. 국내의 한 도서사이트에서 ‘김만덕’을 검색하면 모두 26건의 소설과 아동도서, 시, 에세이가 떠오를 정도다.

제주 토박이인 현길언(72) 평화의문화연구소장이 쓴 장편소설 ‘꿈은 누가 꾸는가?!’(물레 펴냄)’는 닫힌 섬의 전설을 오롯이 작품에 녹여 냈다. 작가가 그동안 제주 설화에 관심을 갖고 많은 논문과 작품을 발표해 왔기에 가능한 일이다.

소설 속 설화는 다름 아닌 ‘날개 달린 아기장수’. 겨드랑이에 날개를 달고 태어난 아기는 훗날 역적이 될 것이란 권력자의 믿음 때문에 날개가 꺾여 버리고 만다. 설화의 배경에는 ‘큰 나라의 풍수사인 고종달이 제주의 지맥을 끊어 버려 제주에서는 뛰어난 인물이 날 수 없다.’는 제주 사람들의 비통함이 담겨 있다.

설화의 결말은 비극이지만, 소설은 제주의 패배 의식을 되돌려 놓는다. 작가는 김만덕의 옛 연인인 가공 인물 정득영을 내세운다. 정득영은 겨드랑이에 날개를 달고 태어난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이지만 토착 세력에 항거하다가 역적의 누명을 쓰고 수장당한다. 그가 죽는 날 많은 사람이 보는 앞에서 하늘로 무지개 사다리가 놓인다. 그 자리에는 암초인 ‘여’(嶼)가 생긴다. 제주 사람들은 이를 ‘장수 여’라 부르며 그들의 꿈을 키운다.

죽은 정득영은 옛 연인 김만덕 주변에 머물며 못다한 꿈을 이뤄간다. 장수 여 이야기는 제주 민중이 품고 살던 염원의 산물이다. 백성을 괴롭히던 중간 관리들의 횡포와 합법을 가장한 각종 수탈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이를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부조리와 짝지으며 진정한 꿈을 꿀 수 없는 상황을 개탄한다. 김만덕이 새로운 섬을 찾아 떠나는 마지막 장면에서 독자들이 깊은 한숨을 내쉬는 이유다. 작가는 “작품을 쓰면서 제주의 설화에 왜 그리 꿈과 억압, 폭력이 복잡하게 얽혔는지를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2-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