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한 숫돌처럼 난 절대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의 ‘세상 도전기’

“단단한 숫돌처럼 난 절대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의 ‘세상 도전기’

입력 2013-08-10 00:00
수정 2013-08-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 이름은 올레마운] 크리스티 조던 펜톤· 마거릿 포키악 펜톤 지음 가브리엘르 그리마드 그림/김선희 옮김/산하/36쪽/1만 1000원

여덟 살 이누이트 소녀 올레마운은 아는 것도 많다. 아버지가 순록을 잡으러 가면 썰매 개를 지킬 줄도, 북극해가 얼음 옷을 벗으면 아버지가 바다 건너 털가죽을 팔러 간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이야기가 너무도 궁금한 바다 건너 사람들의 책은 아무리 들여다봐도 모르겠다. 무슨 영문인지 아버지는 딸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다. 겨우내 매달려 승낙을 받아낸 올레마운. 꿈꾸던 학교이지만 첫날부터 올레마운은 흙탕물을 뒤집어쓴 듯 모욕감에 휩싸인다.

수녀님은 곱게 땋은 소녀의 머리칼을 싹둑 잘라낸다. ‘울루 칼을 가는 숫돌’이라는 뜻을 지닌 멋진 이름도 빼앗기고, 마거릿이라는 생경한 이름을 얻는다. 책상에는 앉아보지도 못하고 교실 청소에 설거지, 빨래에 내둘린다. 도망칠 궁리를 하던 소녀는 마음을 고쳐먹는다. 스스로 변화를 만들어 내기로.

“내 이름은 올레마운입니다. 우리 이누이트 여자들이 울루 칼을 갈 때 쓰는 단단한 숫돌처럼, 나는 절대로 물러서지 않을 거예요.”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는 뜻의 에스키모로 세상에 알려졌지만,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이누이트들의 이야기다. 배경은 1940년대 캐나다 노스웨스트 북서부 마을 어클라빅. 이누이트들을 문명인으로 교육시킨다며 기숙학교를 세워놓고 어린이들을 학대한 곳이다. 캐나다 총리는 2008년 이를 뒤늦게 사과했다. 지은이 두 사람은 고부 사이다. 시어머니의 어린 시절 아픈 기억을 며느리가 글로 되살려 보듬어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8-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