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물음을 품고 출발한 김탁환 작가의 호랑이 왕대 이야기가 완간됐다. 일본의 말살 정책으로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춘 호랑이를 부활시킨 역사 생태 동화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2011)가 2권 ‘왕대 휴전선을 넘다’, 3권 ‘백두산 으뜸 호랑이 왕대’로 3년 만에 매듭을 지었다. 창경궁에 동물원이 있던 시절, 보조 사육사와 아기 동물로 만난 재윤과 왕대. 1권에서 동물원의 맹수를 죽이라는 일본의 명령에도 왕대를 살려준 재윤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왕대와 ‘운명의 만남’을 거듭한다.
2권에서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한반도의 허리로 독자들을 데려간다. 38선이 결정되기 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북한군과 남한군이 치열한 접전을 벌인 금강산이 주 무대다. 왕대가 한솔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기 호랑이들을 학도병으로 자원 입대한 재윤이 돌보면서 둘은 두 번째로 재회한다.
3권에서는 전쟁이 끝난 뒤 백두산으로 향한 왕대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불곰, 표범 등 다른 맹수들을 물리치고 백두산 으뜸 호랑이로 군림하지만 밀렵꾼들의 총이 그를 위협한다. 한편 사육사의 꿈을 이룬 재윤은 백두산 호랑이를 조사하기 위해 찾은 중국에서 왕대 딸 압록의 죽음을 맞닥뜨리면서 다시 왕대와 마주한다.
‘불멸의 이순신’ ‘방각본 살인사건’ 등 이미 어른들의 역사소설로 정평이 난 작가는 사라진 호랑이를 되살려 낡은 얘기가 되고 만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비운의 근현대사를 어린이들에게 실감 나게 들려준다. 왕대와 재윤의 뭉클한 교감은 아픈 역사지만 그로 인해 우리가 성장했음을, 그래서 더 과거를 잊어선 안 된다는 것을 일깨운다. 작가는 “지금도 많은 동식물들이 휴전선 근처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다”며 “휴전선을 인간의 관점이 아닌 동물과 식물의 관점에서 한번쯤 바라보고 고민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초등 고학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8-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