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둡고 커다란 동굴 속에 괴물 ‘빅토르’가 살고 있었다. 빅토르는 다른 괴물과 달랐다. 심술궂지도 않았고 밖에 나갈 땐 온몸에 향수를 뿌려 장미 냄새가 났다. 빅토르에겐 아이들 생일을 훔치는 별난 재주가 있었다. 왜 그런지 알 수 없지만 빅토르는 아이들 생일 훔치기를 좋아했다. 깊은 밤 아이가 잠든 방에 들어가 밀짚 대롱으로 생일을 쏙 빨아들였다. 그날 밤 이후 아이의 생일은 사라져 버렸다. 가족도, 친구도 심지어 아이 자신도 생일을 잊어 버렸다. 더 큰 일은 생일을 도둑맞은 아이들은 더이상 나이를 먹지 않았다. 비행기 조종사, 선생님, 의사, 소방관, 가수 등 어른이 되면 하고 싶은 꿈도 이룰 수 없었다. 아이들은 계속 학교만 다녀야 했다.
별이 총총 빛나던 어느 날 밤 빅토르는 여덟 살배기 꼬마의 방에 살며시 들어갔다. 꼬마 이름은 ‘바스티앙’이었다. 빅토르가 생일을 막 훔치려고 할 때 바스티앙이 잠에서 깨어났다. 바스티앙은 큰 소리로 물었다. “괴물아, 내 방에서 뭘 하고 있지?” 당황한 빅토르는 우물쭈물 말했다. “어… 그게… 네 생일을… 훔치러 왔다.” 바스티앙은 꾸짖듯 말했다. “그것은 나쁜 짓이야. 난 친구들과 생일 파티를 하고 싶어! 그런데 왜 내 생일을 훔치려고 하지?” 빅토르는 바스티앙의 침대에 걸터앉아 생각했지만 이유를 알 수 없었다. 바스티앙이 빅토르에게 속삭였다. “너도 가족들과 생일 파티를 하잖아. 그런데 난 왜 안 돼?” 빅토르는 문득 생일 축하를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빅토르의 엄마, 아빠는 남을 괴롭히기만 하는 나쁜 괴물이었기 때문이다. 빅토르는 눈물을 펑펑 쏟기 시작했다.
괴물 빅토르와 꼬마 바스티앙의 우정을 감동적으로 그렸다. ‘아이들의 생일을 먹는 괴물’이라는 발상이 신선하고 그를 토대로 한 상상의 세계도 흥미롭다. 아무도 생일을 챙겨 주지 않아 외롭고 슬펐던 아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준다. 작가들은 쌍둥이 형제로 2005년부터 ‘요정 세상’ ‘용들의 세계’ 등 여러 그림책을 냈다. 4~7세.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8-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