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일의 어린이 책] 소풍 가고픈 애에게 “이 닦았니” 안 했나요

[이 주일의 어린이 책] 소풍 가고픈 애에게 “이 닦았니” 안 했나요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3-25 17:44
수정 2016-03-25 17: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디다와 소풍 요정/김진나 지음/김진화 그림/비룡소/88쪽/8500원

이미지 확대
어른을 위한 그림책의 등장이 도드라지는 요즘, 어른이 먼저 읽어야 할 동화가 나왔다. 제5회 비룡소 문학상 수상작인 ‘디다와 소풍 요정’이다.

두 편의 단편으로 묶인 작품은 흔히 보는 동화들과는 다른 결과 성정을 품고 있다. 바꿔 말하면 대놓고든 은근슬쩍이든 교훈을 설파하려 하거나 아기자기한 환상으로 서사를 이끄는 식은 아니다. 그런데 읽고 나면 어른인 것 자체가 자꾸 찔린다. 현실과 환상 사이의 경계선이 이렇게 모호한 것이었나 갸웃하게도 된다.

매번 어긋나는 부모와 아이의 대화는 한 편의 부조리극 같다. 소풍 요정이 샌드위치 재료를 먹어 치웠다는 아이 디다의 말에 엄마는 놀라기는커녕 할 말만 한다. “이 닦았니?” 아빠가 정장을 입자 “아빠, 그런 옷을 입고 어떻게 캐치볼을 해요?”라고 묻는 디다에게 아빠 역시 뜬금없는 답으로 응수한다. “사람은 제대로 차려입고 다녀야 체면을 지킬 수 있는 거야.”

작품 속 부모는 아이의 말에는 귀 기울이지 않고 ‘해야 할 일’만 주입한다. 소풍 가고 싶은 아이의 간절한 마음은 안중에도 없다. 이는 닦았는지 얼굴은 타지 않았는지 옷은 감각 있게 입는지가 먼저다. 기껏 소풍을 떠나서도 아이는 혼자 내버려둔 채 저마다 스마트폰에만 고개를 박고 있다. 아이의 생각과 행동을 부모가 정해 놓은 기준에 맞춰 재단하려 애쓴다. “가족 판타지의 외형을 지닌 가족 속에 나 있는 일상화한 균열을 희화적으로 드러낸 작품”(김진경 작가)이라는 평처럼 이야기 속에서는 우스꽝스러운 모습들이다. 하지만 곧 알아채게 된다. 우리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풍경과 무서울 정도로 닮아 있다는 것을.

하지만 아이는 잘 자랄 것이다. 어른들의 잣대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만의 보물상자를 소중히 지킨 채. 심사위원들은 어른의 이기심과 무심함을 묘파하고 아이의 천진한 동심을 지켜 주려는 이 통렬한 이야기에 만장일치로 표를 던졌다. 초등 3학년부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3-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