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이 오래도록 써 내려온 상말을 집대성했다. 정치·권력, 인생살이, 성기, 성교, 돈·노름, 신체·장기, 부부, 처녀·총각, 절유·강도 등 삶의 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상말 전반을 32개의 항목으로 분류해 정리했다. 저자는 “상말은 생명의 원형질인 식본능과 성본능을 명징하게 대변한다. 원초적인 본능을 천시하는 경향 때문에 상소리가 부당하게도 ‘천한 말’로 치부돼 왔다. 하지만 상말이 모든 일상 및 고급언어의 뿌리라는 점에 하자가 생길 수는 없다. 고운 말과 상말은 별개의 반대말이 아니고 상말이 곧 고운 말의 모태이고 뿌리라는 뜻”이라고 역설했다.
서거정의 ‘태평한화’(太平閒話)를 비롯해 조선 십대기서(十大奇書), 판소리 변강쇠타령, 농요 상소리아리랑, 민요 김삿갓의 상소리시편에서 뱀장수 사설까지 상말과 관련된 자료들을 폭넓게 섭렵, 채록했다.
상말 관련 민담이나 구전설화 등을 엮은 ‘관련 여담’도 흥미롭다. ‘세종 때 신하였던 고약해(高若海)는 겁이 없어 어전에서 세종을 노려보는 건 예사고 지엄한 어명에 대꾸도 없이 자릴 박차고 나가 버리곤 했다고 한다. 세종이 하도 기가 막혀 경우 없이 반론을 펴는 자들을 두고 고약해 같은 놈이라고 했다고 해서 고약한 놈, 고얀 놈이란 말이 생긴 것이라 한다.’(11쪽)
저자는 “상말은 우리 겨레 심중에 녹아든 바닥정서의 하나인 만큼 여기에 윤리적인 잣대를 대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6-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