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자인 저자는 현대차를 ‘한강의 기적’의 축소판으로 본다. 이른바 ‘하면서 배우는’ 것으로 요약되는 한국적 발전의 특성이 현대차의 성장 과정과 판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현대차, 특히 울산 공장을 들여다보면 최근 심각한 침체 현상을 겪고 있는 한국 사회의 해법이 보인다고 단언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현대차에 대한 저자의 해법은 공존·공생을 위한 노사 합심이다. 우리 사회가 경제·사회적으로 가 보지 않은 길에 직면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노사 합심이라는 마법 주문으로 쉽게 해결될 상황인지는 논란이 있겠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2-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