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인류학 대가 정수일의 아프리카 답사기

문명 인류학 대가 정수일의 아프리카 답사기

이슬기 기자
입력 2018-09-11 17:24
수정 2018-09-12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 펴내…“종횡 세계일주 수행한 나의 인증샷”

“60여년 전에 백두산 오지에서 난 촌뜨기가 아프리카를 처음 접했습니다. 이집트 고대 문명에 놀라고, 전 대륙의 식민지화라는 치욕을 당한 세계가 있다는 사실에 더욱 놀랐습니다.”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
정수일(85)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이 아프리카 답사기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 1·2’(창비)를 펴냈다.

정 소장은 1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저서에 대해 “종횡 세계일주를 수행한 하나의 인증샷”이라고 평가했다. 평생을 범지구적 실크로드 연구를 통해 인류 문명 교류의 증거를 찾으려 한 그다. 정 소장은 중국과 북한의 외교 사절로 18년, 한국에서의 10년 등 총 28년간의 답사를 통해 실크로드가 유라시아 구대륙만을 포괄한다는 통론을 깨기 위해 노력했다. 전작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2010), ‘문명의 보고 라틴아메리카를 가다’(2016)가 그 같은 행보의 결실이다.

정 소장은 1955년 중국 국비 유학생 1호로 처음 이집트 카이로 땅을 밟았다. 아프리카에서 변혁 1~2세대들의 투쟁, 그들이 꿈꿨던 아프리카식 사회주의는 청년 정수일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책에는 당시 대중연설 현장에서 청중이 던진 신발을 맞고도 의연한 모습을 보였던 나세르 전 이집트 대통령, 모로코 국왕에게 중국 대사의 신임장 제정식 통역을 하며 겪은 일화 등 아프리카 현대사의 장면이 담겨 있다.

그는 단국대 사학과 교수를 지내다 1996년 북한 공작원 신분이 드러나 5년을 복역한 바 있다. 통일에 대한 생각을 묻자 그의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최근 통일에 대한 당위성이 희박해지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저는 어디까지나 민족주의자이고 우리는 한 민족이기 때문에 꼭 통일해야 합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8-09-1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