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당신 서가에 꽂힌 올해의 책은 무엇입니까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당신 서가에 꽂힌 올해의 책은 무엇입니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2-20 23:12
수정 2018-12-21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벌써 연말입니다. ‘책골남’을 맡은 지도 1년입니다. 시간 참 빠르네요. 1년 동안 책을 몇 권 정도 읽었는지 세어 봅니다. 책 리뷰를 쓰고자 명절과 하계휴가를 제외하고 매주 1권씩 읽었습니다. 여기에 시간 날 때 틈틈이 봤던 책까지 합치면 70여권 정도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발표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연간 성인 평균이 8.3권이었으니, 8배 정도 되는 셈입니다.

리뷰 쓴 책 가운데 인상 깊었던 책을 꼽아 봅니다. 그러니까 저만의 ‘베스트10’인 셈입니다. ▲대학과 권력(휴머니스트) ▲건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뜨인돌) ▲민청학련(메디치미디어) ▲천재의 발상지를 찾아서(문학동네) ▲복학왕의 사회학(오월의봄) ▲재판으로 본 세계사(휴머니스트) ▲인듀어런스(클)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김영사) ▲두 사람(갈라파고스) ▲중독의 시대(개마고원).

대형 서점에서 발표한 베스트셀러 목록과 많이 다릅니다. 말랑한 책보다는 읽기 다소 어려운 책이 많았습니다. 책을 읽다가 이해를 못 한 부분은 억지로 머릿속에 집어넣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침 흘리며 꾸벅꾸벅 졸기도 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그래도 1년 동안 꾸준히 책을 고르고, 읽고, 글을 쓰는 일이 참 행복했습니다. 매일 밀려오는 새 책의 냄새가 좋았고, 읽지 않은 책 내용을 짐작해 보는 일도 즐거웠습니다. 변변찮은 글 실력으로 독자에게 매주 편지 쓰듯 리뷰 쓰는 일도 좋았습니다. 모르는 사실을 알고,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내 생각으로 소화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금 책이란 우리에게 무엇인가 생각해 본 한 해였습니다.

무엇보다 올해 베스트10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수험서, 잡지, 만화를 제외한 종이책을 1권 이상 읽은 사람 비율이 60%가 채 안 됐습니다. 1년 동안 책을 한 권도 읽지 않은 이들이 10명 가운데 4명이란 뜻입니다. 책골남은 소망합니다. 내년 연말에는 모두가 자랑스레 자신만의 베스트10을 말해줄 수 있기를.

gjkim@seoul.co.kr



2018-12-21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