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하지 않은 몰락/강상중·우치다 타츠루 지음/노수경 옮김/사계절/304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뭔가 잘못돼가고 있다는 걸 피부로 느끼고 있더라도 우리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을 이토록 꼼꼼하고 성실하게 설명해주는 것이 달갑지는 않다. ‘그것이 무엇이든 잘 될 거야’, ‘여태껏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온 인류의 힘을 믿어’라는 대책 없는 격려가 더 달콤한 탓이다. 그렇지만 이 진지한 이야기를 나누는 두 사람을 무시할 수도 없다. 강상중과 우치다 타츠루. 일본사회를 대표하는 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미 여러 차례 책으로 우리나라의 독자들과 만나며 그 혜안을 보여준 이들이다.
오랜 야만과 전쟁의 시대를 거치고 근대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드디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얻었다.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권. 국가는 헌법 아래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약속했고, 다시는 폭력에 기대는 일 없이 찬란한 이성의 힘을 횃불처럼 들고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요원했던 평화가 현실이 되었다. 그렇다고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누구도 그렇다고 자신할 수 없게 되었다. 테러와 폭력, 갈등과 혐오는 사라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더 심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경화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진단하며 우치다 타츠루는 ‘21세기 새로운 야만’이라고 이름붙인다.
원인은 무엇일까. 그들은 ‘국민국가’ 체제와 자본주의 시장의 충돌을 지적한다. 자본과 시장은 자유롭게 이동하며 경계를 확대하길 원하는데, 국가는 국경이라는 단단한 틀 안에 자본을 가두고 보호하려 한다. 이 대단한 규모의 두 ‘고질라’의 싸움에서 등이 터지는 건 우리다. 이 체제를 유지하고자 인간기둥 역할을 하다 압살당하는 것 또한 우리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토록 숭배하는 이성의 힘으로 무리 없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그들은 근대 세계의 침몰은 막을 수 없다고 말한다. 단, 희생자의 숫자를 줄이려고 노력할 수는 있다. 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세계는 작은 공동체의 세계다. 그들이 의지하는 가치는 자유, 평등, 인권 등 거창한 것이 아니다. 측은지심, 공생의 감각, 관용, 환대, 화해. 펼쳐놓으면 뻔해 보이지만, 그들의 치열한 고민과 분석이 결국 우리가 갈 방향은 분명하다는 것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인간의 다양함과 약함, 그리고 복잡함을 담기에 현재의 틀은 너무 크다. “인간을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다단한 인간관계를 잘 조정하는 상호부조”가 꼭 필요한 이유다.
2018-12-2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