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돌을 씹어 먹는 아이가 있다. 돌을 먹는 걸 알면 가족들이 실망할 것을 염려한 아이는 긴 여행을 떠난다. 돌 씹어 먹는 친구들을 하나 가득 만나고 돌아온 집에서, 아이는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된다. 아빠는 흙을, 엄마는 녹슨 못과 볼트를, 누나는 연필 꼭지에 달린 지우개를 먹어 왔다는 사실을.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4년 출간 이래 독자 및 평단으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 온 동화 ‘돌 씹어 먹는 아이’가 새로운 그림으로 다시 돌아왔다. 한국출판문화상을 받은 송미경 작가의 글에, 이탈리아 볼로냐 라가치상 수상에 빛나는 세계적인 일러스트레이터 세르주 블로크가 그림을 얹었다. 원작 특유의 독특한 분위기, ‘다름’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다정한 메시지가 블로크의 간결하고도 유쾌한 그림과 만나 강렬한 하모니를 빚어낸다.
돌을 먹다니, 이 무슨 기괴한 상상력인가 싶지만 말을 약간만 바꾸면 충분히 주위에 있을 법한 상황이 된다. 손톱 물어 뜯는 아이랄지, 코딱지 파먹는 아이랄지 어려서 아이들은 온갖 걸 다 입에 가져가기 때문이다. 무조건 혼만 내면 아이는 위축되고 잘못된 습관을 계속 이어갈지도 모른다. 아이의 특성을 인정하는 마음이 우선이어야 아이도 엄마·아빠의 충고에 마음을 열 것이다.
“계속 돌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아이의 질문에 돌산에서 만난 수염이 하얀 할아버지는 이렇게 말한다. “그럼, 넌 돌 씹어 먹는 아이인걸. 무엇을 먹으면 어때, 신나게 뛰어다니며 무럭무럭 자라렴.” 어른에게도 돌쯤 먹어도 된다고, 그냥 무럭무럭 자라라고 말해주는 존재가 있었으면 좋겠다 싶어서 문득 아이가 부러워졌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6-28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