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에 담긴 사연

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에 담긴 사연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0-17 10:00
수정 2020-10-17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호균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이미지 확대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걷는사람 제공
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이다. 그간 시인은 꾸준히 문학판에 얼굴을 내밀면서도 시집 만은 출간하지 않았다. 그래서일까. 책 제목이 의미심장하다.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걷는사람).

김호균 시인은 199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에 시, 광주매일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발문을 쓴 김형중 문학평론가에 따르면 시인은 1985년 제1회 오월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광주청년문학회의 창립 멤버, 광주전남작가회의 사무국장 등으로 활약했으나 긴 세월 시집을 내지 않았다.

시집에는 오랜 세월 벼려온 세상에 관한 그의 통찰이 돋보인다. 염소, 짱뚱어, 놋세숫대야처럼 향토적 색채가 짙은 시어들이 반갑다. 시 ‘소금쟁이’는 문학판에 있었으되 시작은 미뤄뒀던, 본인을 은유한 듯도 하다. ‘소금쟁이는 발목만 담근 듯 만 듯/그러니까, 세상과는 아주 떨어지지 않으면서도/세상을 사뿐사뿐 가지고 노는/힘,’(‘소금쟁이’ 부분) 밀물과 썰물 속에서 뻘밭이기도, 바다이기도 한 영역을 삶의 터전으로 삼는 짱뚱어에 관한 시도 비슷한 맥락으로 다가온다.

시인의 시는 어렵지 않다. 삶의 구체적인 순간을 다루고 있어서다. 가령 시 ‘사랑’은 평생 술독에 빠져 지내던 아버지 김희종 씨와 이런 아버지를 애 타는 심정으로 바라봤던 어머니 심영민 씨의 이야기다. ‘응급실 복도의 국화를 보면서 김희종 씨의 오래된 친구인 심영민 씨의 가슴을 저리게 하는 말,/김희종 씨가 “닭발 좋다야, 참말로 좋다야” 하는 말에 이르러선/내가 나를 참지 못한다/내가 나를 울어버린다’. 포장마차를 운영하던 아내의 곁에서 보조로 살던 내력을 그대로 드러내는 한 마디에, ‘나’는 무너져 내린다. 이 순간, 국화가 닭발이고, 닭발은 징글맞은 사랑의 다른 말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