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하게 냉철하게… 40년 詩인생

따뜻하게 냉철하게… 40년 詩인생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3-11 17:20
수정 2021-03-12 0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꽃으로 엮은 방패
곽재구 지음
창비/220쪽/9000원

이미지 확대
연륜이 빚어낸 온기가 깃든 시는 가슴을 따스하게 적셔 준다. 분단과 군사독재로 점철된 현대사를 마주하며 혼을 다해 쓴 시는 억압에 시달려 온 민중의 아픔을 함께 나눈다.

전통적 서정을 바탕으로 인간 본래의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해 온 곽재구 시인이 등단 40년을 맞아 아홉 번째 시집 ‘꽃으로 엮은 방패’를 펴냈다. 곽 시인은 이 시집에 대해 “우리 사회에 여전히 많은 모순이 존재해 고통과 모순의 창칼을 막아 내는 아름다운 ‘방패’를 생각했다”고 밝혔다.

오롯이 시의 길을 걸어온 곽 시인의 눈길은 따뜻하다. “천지사방 꽃향기 가득해라/ 걷다가 시 쓰고/ 걷다가 밤이 오고”(‘세월’)에선 어느덧 노년에 이른 시인이 순박하고 무구한 시심을 가다듬는다. “저녁의 항구에서 모여드는 세상의 모든 시를 읽을 것이다”(‘세상의 모든 시’)라고 다짐하며 “사람은 좀 느리게 살아야 해”(‘기차는 좀 더 느리게 달려야 한다’)라고 삶의 여유를 찾을 것을 권한다.

그러나 시인은 냉철한 역사의식도 함께 보여 준다. “돌아오는 저물녘/ 우리는 언제부터 형제가 아니었던가/ 생각하고 생각하였다”(‘형제’)에선 분단 현실로 고통을 겪는 한민족의 동포애를 체감한다. 특히 여행길에서 만난 고려인들의 한 맺힌 삶 앞에서는 왜 그들이 중앙아시아에 버려졌는지 한 번도 묻지 않은 조국의 무정함을 부끄러워한다. ‘저녁의 꽃 냄새’에선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먹잇감이 되지 말자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 준다.

이번 시집에는 용오름마을, 소뎅이마을, 파람바구마을, 선학, 초적, 쇠리 등 정겨운 지명이 유난히 많이 등장한다. 삶의 안식처이자 마음의 고향인 이곳에서 시인은 추억을 되새김질하며 외로움을 달래는 손편지를 띄운다. 시 71편 이외에 시인이 해설 대신 곁들인 산문도 새겨 읽을 만하다. 1980년 5월 광주를 겪은 일은 뭉클하고, 한국 시문학사에 길이 남을 ‘사평역에서’가 세상에 나오게 된 이야기는 흥미롭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3-1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