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릉에 숨겨진 이야기

조선 왕릉에 숨겨진 이야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5-13 17:36
수정 2021-05-14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왕릉, 왜 그곳인가?/황용선 지음/청어람M&B/464쪽/3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사람들은 살아서는 물론이고 죽어서도 좋은 자리로 가고 싶어 한다. 만약 자리가 좋지 않다면? 옮기는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임금의 무덤은 자리한 지 오래됐어도 흉한 일이 이어지면 옮기곤 했다. 혹은 정치적 갈등이나 후손 왕의 시기심 탓에 자리를 비워 줘야 했다. 임금의 무덤이 풍수지리로 볼 때 최고의 자리라고 보기 어려운 이유다. 저자 황용선은 그래서 “살아 있을 때 조선의 지존이었더라도 결국 죽은 자의 갈 곳은 산 자가 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2009년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뒤 저자는 우리나라에 있는 조선 왕릉을 모두 돌아봤다. 직접 답사한 왕릉 40기와 연산군·광해군 묘, 그리고 북한에 있어 답사는 못했지만 자료에 따른 정종의 후릉까지 모두 43기의 묘에 대해 기록했다. 특히 조선 왕릉의 조성과 변천 과정을 일람표로 작성해 부록으로 첨부했다. 왕릉의 풍수적 이점을 정리한 데에서 나아가 그곳에 오기까지의 사연을 집요하게 추적했다.

왕릉에 얽힌 비사를 따라가다 보면, 아무 말 없이 그곳에 있는 왕릉, 지금은 관광지처럼 돼 버린 왕릉이 사실 많은 사연을 갈무리하고 있는 곳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5-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