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란 끊임없이 해석을 가하는 미완성의 영역이다[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역사란 끊임없이 해석을 가하는 미완성의 영역이다[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입력 2022-04-28 17:10
수정 2022-04-29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사, 라프로쉬망을 꿈꾸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참화의 소식은 이제 간혹 전달될 뿐 더이상 큰 뉴스거리가 아니다. 최근 속보는 러시아의 가스 공급 중단, 이에 따라 뉴욕 증시와 비트코인의 타격 등, 어쩌면 본질과는 한참 멀어진, 가진 자들을 걱정하는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역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할지 도무지 알 수 없는 형국이다. 곽차섭 부산대 사학과 교수의 ‘역사, 라프로쉬망을 꿈꾸다’는 역사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촉구하는 책이다.

라프로쉬망(rapprochement)은 ‘화해’ 혹은 ‘화친’이라는 의미다. 저자는 “문학과 철학(윤리학), 예술과 과학이라는 학문 분야들과 끊임없이 라프로쉬망을 추구”하는 것이 역사학의 본질이라고 말한다. ‘있는 그대로의 역사’를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저자가 보기에 오늘의 역사는 최소한의 실증을 유지하며 각각의 영역에서 끊임없이 자기 해석을 더한다. 배타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 서양 역사학의 새로운 경향 중 하나는 “역사와 문학의 접근”이다. 하지만 많은 역사학자들은 “역사의 문학화”, 즉 “역사가 문학의 범주 속으로 끌려가고 있다”는 사실을 염려한다. 하지만 저자가 보기에 “이야기체 역사의 부활”은 실상 오래된 일이다. “역사와 문학이 ‘이야기식’이 아니었던 때는 사실 별로 없었”는데도, 현대에 이르러 역사가는 “확고한 사실”만 다루어야 하고, 소설가는 “상상력을 발휘해 창작할 수 있다”는 이분법적 사고가 만연하다. 특히 역사소설 장르에서 가장 첨예한 긴장을 유발하고 있다.

미켈란젤로가 남긴 최상의 걸작 중 하나인 ‘최후의 심판’은 미술작품과 비평의 라프로쉬망을 통해 우리에게 그 가치가 전해졌다. ‘최후의 심판’이 공개된 것은 1541년인데, 20년도 더 지난 1564년, 트리엔트 공의회는 작품에 덧칠을 하기로 결정했다. 사실 ‘최후의 심판’에 대한 세간의 평이 좋지 않았다. 악평을 주도한 것은 “군주의 채찍”이라고 불린 피에트로 아레티노였다. 그는 “타고난 재치와 아이러니와 신랄함에 대한 감각을 글로 옮길 수 있는 ‘신이 내린’ 천품”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런 아레티노가 ‘최후의 심판’이 “시스티나 예배당이란 성소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여론을 주도했다. 그에겐 당대에도 천재 소리를 듣던 미켈란젤로의 “스케치 몇 점”을 얻고 싶은 속셈이 있었다. 그 속셈과 다르게 미켈란젤로와 아레티노의 부딪침은 1564년의 덧칠로 이어졌고, 1994년에야 복원 작업이 완료됐다. 역사는 아이러니의 연속이며, 그 연속성 속에서 라프로쉬망을 찾는 게 결국 관건인 셈이다.

철학과 문학, 예술과 과학의 라프로쉬망이 중요한 만큼 장삼이사(張三李四)가 받아내는 삶의 현실과 역사의 라프로쉬망이 시급한 것은 아닐까. 우리가 두 발 딛고 있는 ‘지금, 여기’의 라프로쉬망, 즉 전쟁을 멈추고 화친 혹은 화해하는 일 말이다. 역사의 광기를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속히 안녕이 깃들기를 기원한다.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2022-04-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