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이 아닌 ‘실’ 꿰었더니… 황홀한 예술이 됐다[그 책속 이미지]

구슬이 아닌 ‘실’ 꿰었더니… 황홀한 예술이 됐다[그 책속 이미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9-15 00:54
수정 2023-09-15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의 변신/정은진 지음/사회평론아카데미/248쪽/2만 7000원

정물·풍경 등 묘사 ‘직물공예’ 소개

이미지 확대
샤를 르브룅, 그라니쿠스 전투(1664~1665), 캔버스에 유채, 470×1209㎝, 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샤를 르브룅, 그라니쿠스 전투(1664~1665), 캔버스에 유채, 470×1209㎝, 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태피스트리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직조기를 이용해 씨실과 날실을 엮어 인물이나 정물, 풍경, 역사 속 장면 등을 표현하는 직물 공예’라고 풀이돼 있다. 태피스트리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아 사전의 설명만으로는 어떤 것인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 확대
고블랭 제작소, 그라니쿠스 전투(1680~1687), 태피스트리, 485×845㎝, 빈 미술사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고블랭 제작소, 그라니쿠스 전투(1680~1687), 태피스트리, 485×845㎝, 빈 미술사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이 책에 등장하는 화려한 태피스트리 작품들을 보노라면 입이 절로 벌어진다. ‘태양왕’ 루이 14세가 ‘가장 위대한 화가’라고 극찬한 샤를 르브룅이 알렉산더 전투 장면을 묘사한 ‘그라니쿠스 전투’라는 회화와 이를 몇 년 뒤 태피스트리로 만든 작품을 비교하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이미지 확대
구슬을 꿰어 보배로 만드는 것도, 보는 이를 황홀경에 빠지게 만드는 예술작품이 되는 것도 핵심은 실이다. ‘그까짓 실 한 가닥’이라고 우습게 볼 것이 아니다. 세상에 하찮은 것은 없다는 말을 새삼 느끼게 하는 책이다.

2023-09-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