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책꽂이]

입력 2025-03-07 02:04
수정 2025-03-07 0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시대(유승훈 지음, 생각의힘) 1960~1990년대 풍속을 통해 지금의 서울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살핀다. 전통과 현대, 농촌과 도시가 충돌하던 혼돈 속에서 자동차와 아파트처럼 새로이 탄생한 문화, 가택신과 마을신 등 서울에 포함되지 못한 채 사라진 것들을 돌아본다. 과열된 경쟁심을 드러낸 입시, 과열된 투기심을 상징하던 강남 복부인 등을 통해 당시 사회를 읽는다. 국가기록원,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기록원 등의 각종 자료와 115장의 사진으로 서울의 성장을 생생하게 그렸다. 392쪽, 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기계는 왜 학습하는가(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노승영 옮김, 까치) 오늘날의 인공지능(AI)을 있게 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핵심 수학의 원리를 살피며 기계 안에서 어떤 과정이 작동하는지 소개한다. 기계를 학습시키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에는 여러 수학 개념이 들어 있다. 선형대수, 미적분, 베이스의 정리, 가우스분포 및 종형곡선 등이다. 1950년대 단순한 수학을 시작으로, 오늘날 기계 학습 시스템을 떠받치는 전문적인 수학 원리까지 두루 알아본다. 막연하게 느껴진 AI의 정체가 선명하게 다가온다. 464쪽, 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미션 이코노미(마리아나 마추카토 지음, 이가람 옮김, 이음) 1% 부자들이 전 세계 부의 절반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태로 양극화가 더 심화하면 자본주의도 붕괴할 수 있다. 혁신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자로 손꼽히는 저자는 현대사회가 직면한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가 함께 담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손잡고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인류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위업으로 꼽히는 미국 정부의 달 탐사 프로젝트를 사례로 ‘미션’을 중심에 둔 경제 발전 방식을 설명한다. 238쪽, 2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연중마감, 오늘도 씁니다(김현정 지음, 흐름출판)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 JTBC 뉴스룸 ‘앵커브리핑’, KBS ‘뉴스9’ 등의 원고를 써 온 저자가 알려 주는 글쓰기 방법. 타고난 재능이 없어도 꾸준히 써야 하는 이유, 끝까지 버티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질문이 좋은 글을 만드는지 소개한다. “글쓰기는 오래달리기와 같다”고 소개한 저자는 꾸준히 쓰고 지쳐도 용기 내어 한 발씩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루하루 버티며 써 온 시간이 쌓여 ‘글’이 ‘밥’이 되고 결국 ‘삶’이 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담았다. 316쪽, 1만 8000원.
2025-03-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