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아시아 개척 경쟁 비밀은 혀끝의 유혹, 향신료!

유럽의 아시아 개척 경쟁 비밀은 혀끝의 유혹, 향신료!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5-04-18 01:23
수정 2025-04-18 0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욕망의 향신료 제국의 향신료/로저 크롤리 지음/조행복 옮김/책과함께/440쪽/2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동서 교역이 실크로드에서 비롯됐다고 알려졌지만 사실 유럽인들이 아시아로 향하는 길을 찾게 한 것은 비단이 아니라 향신료였다. 향신료는 때로는 금보다 더 값이 나갔고, 향신료 자체가 화폐로 쓰이기도 했다. 이렇게 높은 가치를 지닌 향신료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바로 자생지인 인도네시아의 군도 말루쿠제도였다.

1511년 포르투갈인들이 ‘향신료의 섬’ 말루쿠제도에 도착하면서 이곳을 장악하려는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의 치열한 경쟁이 전 세계로 확대됐다. 국부를 위해 새로운 미래 자원과 식민지를 더 많이 확보하려는 이들의 분투는 유럽을 세계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16세기 유럽의 강국들은 여러 대양을 서로 연결했고, 거대한 해상 제국을 수립해 교역을 시작했다. 1571년 에스파냐의 마닐라 건설과 갤리언 무역으로 세계적 교역 연결망이 완성됐고 이는 유럽이 유럽 밖으로 팽창해 나간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모두 향신료 공급망을 지배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유럽인들은 향신료 확보와 정복 사업에 나서면서 더 정확한 지도를 제작해 태평양을 새롭게 발견했다. 태평양은 향신료뿐만 아니라 중국으로 가는 황금 열쇠였다. 포르투갈은 말루쿠제도의 트르나테섬을 기점으로 먼저 향신료 교역을 장악했고 에스파냐의 도전을 막으면서 중국을 발견하고 일본의 문호를 여는 데 집중했다.

포르투갈은 1517년부터 중국에 몇 차례 함대를 파견해 정식으로 교역을 열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하지만 포르투갈인들과 현지 중국 상인들은 조공 제도를 벗어난 변칙적 거래를 성사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그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마카오다. 마카오는 포르투갈 상인들이 자신들을 위해 운영한 도시로 ‘동양의 베네치아’로 거듭났다.

포르투갈은 1543년부터 일본과도 접촉을 시작했는데 포르투갈 상인들이 탄 배가 폭풍에 떠밀려 일본 서부 다네가섬에 닿은 것이 시작이었다. 포르투갈이 일본에 전해 준 화승총, 기독교, 서양 학문은 문화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역사 저술가인 저자는 이렇듯 60년의 향신료 교역이 근대화와 세계경제에 미친 영향을 상세하게 소개한다. 또한 16세기 세계화에 따른 범세계적 교역 증대, 물자 이동 같은 성취를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민족·문화·세계관 간 충돌의 파괴적 이면도 들여다본다.
2025-04-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