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라 단편집 ‘한밤의 시간표’
안톤 허 번역, 영국·미국서 출간
‘they’ 활용해 원문 의도 잘 전달

사인하고 있는 정보라 작가. 퍼플레인 제공
‘정보라·안톤 허’ 조합이 이번에도 일을 낼 수 있을까.
‘저주토끼’, ‘너의 유토피아’로 영미권의 주요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른 소설가 정보라(49)의 단편집 ‘한밤의 시간표’(퍼플레인)가 영어로 번역됐다. 미국에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출간됐고, 영국에서도 2일부터 독자와 만난다. 번역은 안톤 허(한국명 허정범)가 했다. 정보라와 안톤 허의 인연은 남다르다. ‘저주토끼’와 ‘너의 유토피아’ 모두 안톤 허가 영어로 옮겼다. 영어로 쓰인 안톤 허의 소설 ‘영원을 향하여’의 한국어 번역은 정보라가 맡았다. ‘끈끈한 동맹’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조만간 영국으로 출국해 현지 독자를 만날 예정인 정보라를 1일 서면으로 만났다.

‘한밤의 시간표’(퍼플레인)
“‘한밤의 시간표’는 귀신 들린 물건들이 모여 있는 정체불명의 연구소에서 야간경비를 하는 ‘나’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꼭 복수만 있는 것은 아니고 ‘해피엔딩’(?)도 있다. 성소수자, 장애인, 해고노동자, 여성 등 세상의 약자들은 끊임없이 살기 위해 몸부림쳐야 한다. 약자에게 해를 끼쳐도 뒤탈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세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괴로운 사람들을 물리치고, 괴로운 세상을 헤치고 나가 안정을 찾는 것. (그것은 꼭) 저주나 복수가 아니라 그저 생존이다.”
‘한밤의 시간표’는 ‘저주토끼’가 영국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오르며 세계적 주목을 받은 뒤 써낸 소설이다. 그만큼 전 세계 독자들의 기대감도 크다. ‘저주토끼’도 그렇지만 이 소설에서도 저주와 복수가 소재로 쓰인다. 왜 정보라 소설의 등장인물은 끊임없이 저주하고 복수하는가. 작가의 시선이 늘 우리 주변을 향해 있기에 그렇다. 그중에서도 너무나도 미약해 잘 보이지 않는 이를 포착하고 있기에 그렇다. 저주와 복수는 그들이 소설, 문학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통쾌한 저항이다.
“‘고양이는 왜’에서 살인을 저지른 남자가 귀신을 보는 장면은 내가 읽어도 무섭더라. 스멀스멀 다가오는 두려움을 ‘중의적인 의미에서’ 소름 끼치게 잘 옮겼다. 작품 전체에서 성별이 불분명한 등장인물을 일관되게 ‘they’(그들)로 옮긴 세심함도 고마웠다. ‘they’는 복수형이기도 하지만 성별이나 정체성이 불분명하거나 상관없을 때 사용하는 대명사이기도 하다. 영어권에서는 습관적으로 인물의 성별을 지정하려고 하는데, ‘they’를 활용하려는 번역가의 뚝심이 원문의 ‘의도적인 불분명함’을 잘 전달한 듯하다.”
연세대 노문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러시아와 폴란드 문학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은 정보라는 영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번역가로도 활동한다. 그가 말한 ‘의도적인 불분명함’을 번역가가 붙잡아 내는 건 단순한 언어적 감각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작가와 번역가 사이에 깊이 있는 교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작가가 가진 연약한 존재들을 향한 연민을, 번역가 역시 깊숙이 체화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약자가 없는 세상은 올까. 그리하여 저주도, 복수도 필요하지 않은 세상은 올까. 앞서 소개된 다른 책 제목에도 있는 단어, ‘유토피아’는 과연 올까.
“인간 자체가 불완전하고 계속해서 변화하는 역동적인 존재다. 완벽한 상태로 고정된 유토피아는 인간에게 있을 수 없다. 있다고 해도 인간이 거기서 살 수가 없다. 항상 행복하기만 한 것은 보통의 인간에게는 비정상이기 때문이다. 다만 살면서 완전하다고 느끼는 순간, 행복한 순간들을 마주칠 수는 있다. 순간은 지나가겠지만 살아서 버티다 보면 또 다른 유토피아의 순간은 올 것이다.”
2025-10-0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