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코페르니쿠스? 분서도 감싼 보수 양반?… 6500장 홍대용의 속내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분서도 감싼 보수 양반?… 6500장 홍대용의 속내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5-11-14 00:49
수정 2025-11-14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대용 평전 1·2/강명관 지음/푸른역사/1권 784쪽 4만 9000원 2권 584쪽 3만 9000원

혁신 사상가로 알려진 홍대용
혈연으로 관직 올라 착복하고
책 불태운 진시황 정당화까지

강명관 교수 16년간 평전 집필
‘진짜 홍대용’에 대한 의문 남겨
이미지 확대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로 알려진 담헌 홍대용은 전근대적 우주관을 무너뜨린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라고 평가된다. 그렇지만 관측과 수학에 근거한 과학적 관점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가 분명하다. 청나라 시대 문인 엄성(嚴誠)이 그린 홍대용의 초상화. 위키피디아 제공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로 알려진 담헌 홍대용은 전근대적 우주관을 무너뜨린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라고 평가된다. 그렇지만 관측과 수학에 근거한 과학적 관점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가 분명하다. 청나라 시대 문인 엄성(嚴誠)이 그린 홍대용의 초상화.
위키피디아 제공


어린 시절 위인전이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만난 역사 속 인물들의 내밀한 이야기를 알게 되면 가끔 당혹스럽다. 여러 사료를 바탕으로 한 인물의 다각적 측면을 드러내는 평전을 통해 위인으로 여겨졌던 이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접하는 순간, 지금까지 알고 있던 그 인물에 관한 이야기가 모두 거짓 같다는 느낌까지 들기도 한다. 근대과학을 구축한 아이작 뉴턴이 연금술 같은 신비주의에 빠진 일이라거나, 뉴턴 역학 체계를 뒤집고 현대 물리학의 문을 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바람기 등이 대표적일 것이다.

강명관 부산대 명예교수가 그린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담헌 홍대용(1731 ~1783)도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상식을 깬다. 그동안 홍대용의 업적은 유교 경전을 연구하는 경학, 역사비평, 천문학과 자연학, 수학, 음악학, 실학 등 분절적으로 이해됐다. 그러나 강 교수는 홍대용의 저서와 공식 사료는 물론 청나라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편지 같은 개인적 자료까지 분석해 ‘인간 홍대용’을 살폈다.

원고지 약 6500장, 원고 집필과 편집에까지 16년이 걸렸다는 대작을 읽고 나면 “무엇이 진짜 홍대용의 모습일까”라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는 실학자이자 혁신적 사상가로 알려졌던 홍대용이 실제로는 진시황의 ‘분서’(焚書)를 정당한 것이라고 평했을 정도로 철저한 성리학자였다고 말한다. 강 교수는 “담헌은…생애 마지막까지 정주학(성리학)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았다”며 “그가 비판한 것은 주자에 대한 맹신적 승봉이었으며, 이는 주자의 경전 해석에 대한 의문 제기조차 봉쇄하는 조선 지식인 사회에 염증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홍대용이 신분제 타파를 포함해 평등을 강조한 사회사상가라는 주장도 ‘신화’일 수 있다. “사회 계급과 신분적 차별에 반대했다”는 세간의 평가는 ‘임하경륜’을 통해 놀고먹는 양반들을 비판한 대목에서 비롯됐지만 실제 그의 삶은 그렇지 않았다. 노비를 거느린 지주였고,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은 채 가문이나 혈연 관계에 기대 등용되는 음직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영천군수로 있을 때 진휼곡을 착복하고 그것을 백성에게 빌려줘 갑절로 받아내려고 했던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한국 과학사학계는 홍대용을 전근대적 우주관을 무너뜨린 조선의 코페르니쿠스이자 과학 사상가라고 평가한다. 홍대용이 지구가 스스로 돈다는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제시하기는 했다. 하지만 서양 과학자들처럼 관측과 수학적 분석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기(氣)의 움직임으로 자연 존재 법칙을 말하는 성리학의 ‘기론’에 입각한 상상력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또 지구 자전설도 자전만 이야기했을 뿐 공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지동설을 주장해 천동설을 깨뜨린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강 교수는 지적했다. 무엇보다 홍대용의 자전설이 담긴 저서 ‘의산문답’을 읽은 사람조차 그리 많지 않아 사회적 영향력도 미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홍대용의 성취와 의미에 대한 주류의 해석과 그에 따른 대중의 인식은 “스스로 근대를 향해 진보했던 한국사의 발전 동태”를 읽어 내기 위한 ‘자생적 근대론의 싹’을 홍대용에게서 기대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강 교수는 지적한다.

비전문가로서 누구의 해석이 맞는지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평전을 읽을 때마다 분명하게 드는 생각은 위인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2025-11-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