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표류’ 남만인으로 본 17세기 대항해시대

‘제주 표류’ 남만인으로 본 17세기 대항해시대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25-11-14 00:49
수정 2025-11-14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항해사 흰닭, 파드레, 그리고 오렌지 반란군의 기이한 모험/딜런 유 지음/뿌리와이파리/568쪽/2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책 제목에 나열된 단어부터 살펴보자. 18세기 조선 후기 실학자인 유득공이 쓴 ‘고운당필기’ 2권을 보면 표류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1653년 제주에 정박한 표류민들에게 이름을 쓰게 하자 그중 우두머리가 이름을 ‘백계(白鷄)야음사이은’이라 적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익태의 ‘지영록’에는 ‘흰닭’과 비슷한 단어가 나온다. 지금은 사라진 ‘아래 아(ㆍ)를 사용한 단어인데, 이를 훗날 한자로 옮겨 백계로 쓴 듯하다.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이 쓴 ‘하멜 표류기’에 등장하는 일등항해사 헨드릭 얀서로 추정된다. 헨드릭과 엇비슷한 발음으로 적은 흰닭은 백계로, 얀서(네덜란드 발음 얀손)이 야음사이은이 된 것이다.

축구를 조금만 알아도 ‘오렌지 군단’이라고 하면 네덜란드 축구팀을 떠올린다. 그런데 왜 반란군인가. 16세기 중반부터 스페인 제국에서 독립하려는 네데를란트 지역 공국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이들은 막강한 스페인 대군에 대항해 80년간 독립 전쟁을 벌여 네덜란드 공화국을 건설했다. 네데를란트 지역 공국들은 무역으로 경제를 키워 왔다. 독립국가가 되면서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나눠 가진 세계의 바다에 슬그머니 끼어들어 동아시아의 유럽인 그룹을 다변화시켰다.

파드레(padre)는 가톨릭에서 사제를 칭하는 스페인어로 우리말로는 신부, 영어로는 파더(father)다.

책은 이 세 단어를 상징어로 삼아 16~17세기 유럽과 동아시아 교류의 역사를 설명한다. 헨드릭 얀서에서 조선에 정착한 남만인(남쪽 오랑캐) 얀 얀서 벨테브레이(박연)를 꺼내고, 남만의 여러 나라 중 하나로 불린 ‘보동가류’를 설명하며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동아시아 활동을 짚는 식으로 미시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은의 유통, 일본에서 250년 동안 숨어 지내던 기리시탄(크리스천), 조선 인삼-일본 은-중국 실크의 삼각 무역 구도 등 흥미로운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아시아와 연결된 대항해시대 역사가 완성된다.

2025-11-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