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학자 총재 “남북통일 염원 기려 전진할 것”, 3·4·7남 등 불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이하 가정연합) 창시자인 문선명 전 총재의 1주기 추모식이 23일 오전 경기도 가평군 청심평화월드센터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경기도 가평 청심평화월드센터에서 ’문선명 천지인참부모 천주성화 1주년 추모식’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행사는 양창식 가정연합 한국총회장의 사회로 보고기도와 가족 및 대표자 헌화, 생애 및 업적 소개, 추모사 및 추모시 낭송, 통일교 자산을 총정리한 세계공적자산백서 및 천일국 헌법 봉정, 한학자 총재 연설, 추모공연 등으로 진행됐다.
한 총재는 “문 총재께서 그토록 소원했던 남북통일의 염원을 이어받아 아시아를 넘어 자유·평화·통일의 행복한 지상천국을 이룰 때까지 전진 또 전진하자”고 말했다.
불국사 주지 성타 스님은 추모사에서 “문선명 총재는 인류를 위한 평화로운 세상 만들기에 모든 것을 바친 살신성인의 삶을 살다 가셨다”며 “평화운동가, 사상가, 교육자, 메시아라는 말로는 문 총재를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말했다.
호세 데 베네치아 전 필리핀 국회의장은 “문 총재는 초종교 운동을 이끌어 왔으며 종단과 영적 지도자 간의 상호협력 없이는 유엔의 본질적인 사명을 이룰 수 없다. 문 총재가 지향한 평화의 세계를 성취하자”고 추모했다.
한편, 이날 추모식에는 미국에 체류 중인 3남 현진 씨, 4남 국진 씨, 7남 형진 씨 등이 모두 불참했다.
여의도 파크원 개발 사업을 놓고 통일그룹 쪽과 소송 중인 현진 씨는 지난해 문 총재가 별세했을 때도 장례식에서 사실상 배제되면서 조문을 못한 바 있다.
그러나 문 총재의 별세 이전부터 통일재단과 통일교를 나눠 맡으면서 유력한 후계자로 꼽혔던 국진·형진 씨가 추모식에 불참하자 통일교 안팎에서는 그 배경을 두고 첨예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해 초 통일그룹 총회장을 문 총재 부부 측근에게 넘겨준 형진 씨는 며칠 전 잠시 귀국해 묘소에 참배하고 출국했다. 트위터에 참배 사진을 올리면서 “조용한 추모식을 올렸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가정연합은 추모식에 앞서 천정궁에서 문 총재가 집필한 가정연합 경전인 원리강론과 유품, 사진자료 등 120점을 공개했다.
또 지난 2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보내온 풍산개 암수 한 쌍도 공개했다. 김 위원장은 문 총재와 한 총재의 고향을 따서 이들 풍산개의 이름을 각각 ‘정주’와 ‘안주’로 직접 지었다고 가정연합은 전했다.
앞서 지난 17일부터 1주일간 문 전 총재의 생애와 업적을 되새기는 추모행사가 마련돼 유품전, 추모사진전, 한반도 평화통일 염원 평화통일대회, 평화대사 추모회 및 추모수기 시상식, 다종교 사회의 종교일치운동 세미나, 세계평화통일미술축제 등이 열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