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라”…올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주제 확정

“네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라”…올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주제 확정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1-04 10:03
수정 2024-01-04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치기도 주간 포스터.
일치기도 주간 포스터.
올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동안 한국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기 위해 기도해야 한다. 한국그리스도교신앙과직제협의회(한국신앙과직제)는 3일 ‘2024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공동담화문’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일치기도주간은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의 일치를 위해 해마다 1월 18일~25일 가톨릭 로마 교황청과 세계교회협의회(WCC)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기도행사다. 한국에서도 한국신앙과직제 주관 아래 일치기도주간이 운영되고 있다.

올해 일치기도주간의 주제는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누가복음 10:27)로 정해졌다. 내전과 테러로 심각한 국가적 위기를 겪고 있는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가 제출한 주제다. 한국신앙과직제는 “트라우마가 일상이 된 현실에서 끊임없는 불화는 우리의 모습과 관계를 해치지만 그래서 더 서로를 치유하고 상처를 돌볼 수 있도록 하는 일치적 회심이 우리에게 필요하다”며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을 맞이하여 아픔과 고통에 사로잡힌 이들의 상처를 돌보며 세상에 봉사하도록 부르시는 소명이 주님의 선물인 일치를 향한 길임을 함께 깨닫는 의미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신앙과직제는 오는 18일 ‘2023년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기도회’를 개최한다. 기도회는 현장과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장소는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한국그리스도교신앙과직제협의회는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활성화와 증진을 위해 한국천주교주교회의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회원 교단이 함께 만든 협의기구다. 18세기 이후 갈라진 그리스도인의 일치에 대한 기도와 관심이 증대되면서, 1908년 폴 왓슨 신부가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준수를 제안했고, 1926년 신앙 직제 운동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을 위한 제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에서는 1968년부터 NCCK와 한국천주교주교회의가 일치기도주간을 준수하며 일치기도회를 드리다 2014년 한국신앙과직제를 창립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