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집단별 갈등 정도 인식 비율. 이음사회문화연구원 제공
설문조사 결과 개신교인 88.6%가 우리 사회의 갈등이 전반적으로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이런 인식은 20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 미래의 주인공인 젊은이들이 우리 사회를 ‘갈등공화국’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진보와 보수 간 이념 갈등을 심각하게 꼽은 비율이 92.1%에 달했다. 이어 빈부 갈등 79.2%, 지역 갈등 71.5%, 세대 갈등 65.3%, 젠더 갈등 61.2% 순이었다. ‘종교 갈등’이 심각하다는 비율은 56.9%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남성보다 여성이, 20대 보다는 30대 이상이 높았다. 지역적으로는 영남권이 이념 갈등을, 호남권이 지역 갈등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회와 갈등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종교 갈등’에 연관 있다는 응답이 67.7%로 가장 높았고, ‘이념(정치) 갈등’ 역시 57.8%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 갈등의 책임 소재. 이음사회문화연구원 제공
갈등의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정부(44.8%)와 국회(28.6%)가 전체의 3/4 가량을 차지해, 정치권의 책임에 큰 무게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은 10.3%로 세 번째였다. 각 주체의 책임 대비 노력 정도를 묻는 질문에선, 정부가 책임은 가장 크나 노력은 가장 저조한 주체로 나타났고, 국회 역시 책임보다 노력이 부족한 주체로 꼽혔다. 교육계, 기업, 언론은 책임과 노력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회가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사회문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31.1%로 가장 높았고, ‘편 가르는 사회 문화 지양을 위한 노력’(25.5%)이 뒤를 이었다.
범죄자에 대한 용서와 처벌 비교. 이음사회문화연구원 제공
한국 교회가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 이음사회문화연구원 제공
이번 설문 조사는 이음사회문화연구원이 지앤컴리서치에 조사를 의뢰해 이뤄졌다. 전국의 만 19세 이상 개신교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올해 1월 4일 진행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