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600m 설산의 오아시스… 그 달달함, 육지 것에 비할까

해발 600m 설산의 오아시스… 그 달달함, 육지 것에 비할까

입력 2013-02-14 00:00
수정 2013-02-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순수 국산 유전자 ‘우산고로쇠’

“울릉도 우산고로쇠는 육지와 달리 눈 속에서 채취해요. 전국 고로쇠 나무 중 유일하게 순수 국산 유전자를 지녔지요.”

경사가 40도쯤 될까. 서면 남양산 아래에서 시작한 농사용 모노레일은 달달거리며 깎아지른 숲을 30여분 올라갔다. 3년째 우산고로쇠를 채취해 온 이수철씨가 시동을 멈춘 곳은 해발 600m. 산중은 오직 눈과 우산고로쇠 나무뿐, 어마어마한 원시 군락지다. 그 기운이 참으로 싱그럽다. 나무는 볕 닿는 곳부터 비닐 주머니를 하나씩 달기 시작했고 흰 수액이 뚝뚝 떨어진다. 한 모금 맛을 봤다. 육지의 것보다 당도가 높다. 이 단맛은 자당으로 다른 지역보다 2배는 달다고 한다. 사포닌에서 오는 향긋한 인삼 향이 특징이다. 특히 우산고로쇠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 칼륨으로 전체 무기질의 81%를 차지하는데 이는 골다공증과 성장기 어린이 뼈 발육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산에서 내려와 농가의 시설을 둘러보니 과거 ‘약수터 물통’은 사라졌다. 수거해 온 수액은 저온 살균 정제 설비를 거쳐 1.5ℓ 페트병에 담겨 밀봉되고 있었다.

‘울창한 큰 언덕’ 울릉(鬱陵). 울릉도 사람들은 이 우산고로쇠 널판으로 너와집을 짓고 수액을 음용하며 그들만의 긴 삶을 지탱해 왔다. 어쩌니 해도 이 또한 이들에겐 건강을 지켜주는 ‘야생’이고 설산에서 얻는 귀한 음식이다. 지금 울릉도는 우산고로쇠 철이다.



2013-02-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