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의 바다 맛 기행] 어떻게 먹을까

[김준의 바다 맛 기행] 어떻게 먹을까

입력 2014-07-17 00:00
수정 2014-07-17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슬포·가파도 자리는 구이용 적합…보목 자리는 뼈 부드러워 물회·강회 딱

이미지 확대
제주 산지천의 허름한 식당에서 점심메뉴를 고르다 아내의 된장 맛이 끝내준다는 남편의 권유로 자리물회를 주문했다. 옆자리에서 술을 마시던 노인이 소주를 입에 털어 넣고 자리 예찬으로 안주를 대신했다. 그는 “자리는 모슬포 자리가 최고”라며 육질이 쫄깃하다는 걸 이유로 들었다. 옆에 있던 노인은 보목 자리를 꼽았다. 모슬포보다 뼈가 부드러워 물회로는 최고라는 것. 모슬포와 가파도 자리는 뼈가 억세 구이용으로 좋고, 보목 자리는 뼈가 부드러워 물회나 강회로 제격이라는 얘기다.

이처럼 두 지역 주민 간 ‘자리 다툼’은 팽팽하다. 모슬포에서 만난 어민은 모슬포 앞바다의 물살이 거칠어 자리의 육질이 쫄깃하고 오래 보관해도 변하지 않는다며 은근히 보목 자리를 견제했다. “보목리 사람 모슬포 와서 자리물회 자랑 말라”는 말도 덧붙였다. 보목동 사람들도 만만치 않다. 보목포구의 한 주민은 ”보목 자리는 칼슘이 많아 체육대회 때면 (보목 자리를 먹은)보목리 사람들이 늘 일등을 했다”며 힘자랑을 했다.

자리는 작지만 비늘은 옹골차다. 우선 비늘을 벗기고 아래지느러미의 가시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다. 날카롭고 강한 가시가 목에 걸리면 위험하다. 여름 자리는 ‘물회’나 ‘강회’와 먹어야 제맛이다. ‘강회’는 비늘, 지느러미, 머리, 꼬리를 제거하고 등쪽으로 어슷하게 썰어 된장에 찍어 먹는 회를 말한다. 하지만 자리요리는 물회가 으뜸이다. 먼저 손질한 자리를 얇고 어슷하게 썬다. 그리고 미나리와 오이, 양파, 배, 깻잎 등 채소와 총총 썬 고추, 부추 등을 준비한다. 여기에 된장, 고추장, 마늘, 깨, 참기름 등을 넣고 잘 섞은 소스를 곁들인다. 썰어 놓은 자리와 된장소스를 적당히 넣고 양념이 배어들게 조물조물 무친 다음 야채를 넣고 버무린다. 마지막으로 시원한 생수를 넣고 얼음을 띄우면 된다. 그리고 식성에 따라 초피 잎이나 가루를 넣기도 한다.

시원해서 여름에 좋고, 기운을 돋으니 여름 보양식이다. 여기에 다른 반찬이 필요 없으니 여름철 상차림으로 머리 아플 일이 없다. 물회용은 작은 자리가 좋다. 중간 크기는 젓갈용이다. 깨끗하게 소금물에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간수가 잘 빠진 천일염을 충분히 섞어서 차곡차곡 그릇에 담는다. 마지막으로 자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소금을 두껍게 뿌린 후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초여름이나 늦봄에 담갔다가 찬바람이 일기 시작하면 먹기 시작한다. 자리가 잘 익으면 꺼내 냉장보관하면 모양이 잘 보전된 자리젓을 두고두고 먹을 수 있다. 빨리 먹을 것은 비늘을 벗기고 담그기도 한다. 자리구이와 조림은 큰 것이 좋다.

2014-07-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