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국립창극단이 만든 판소리 오페라 ‘춘향 2010’이 오는 14∼17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 오른다. 전통 고전 ‘춘향전’을 오페라 형식으로 다시 만든 것이다. ‘2010세계 국립극장 페스티벌’ 참가작이다.
이미지 확대
오페라 ‘춘향 2010’에서 박애리·이광복이 열창하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오페라 ‘춘향 2010’에서 박애리·이광복이 열창하고 있다.
춘향과 몽룡이 부부의 연을 맺고 부르는 이중창 ‘사랑가’, 춘향이 옥중에서 부르는 눈대목 ‘쑥대머리’, 어사가 된 몽룡이 춘향의 집에 가려고 박석고개를 넘으며 부르는 ‘박석티’ 등 잘 알려진 곡들이 오페라의 아리아처럼 불린다. 동양적 정서를 서양적인 틀에 담아내는 것인데, 덕분에 춘향도 적극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특히 ‘농부가’ 대목에는 시대 비판적인 요소가 듬뿍 녹아 있다. 어사가 된 몽룡이 거지 분장을 하고 농민을 만나는데 농민들의 걸죽한 입담을 통해 재미와 함께 시대에 대한 고민을 안겨준다. 또 이 장면에서는 연희단과 비보이들이 합세해 상모돌리기 등 예전 농사철에 있었을 법한 풍경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녹여낸다. 명창 안숙선이 참가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오페라학과 교수 김홍승이 연출을 맡았다. 2만~7만원. (02)2280-4115∼6.
15일 오후 4시 서초동 국립국악원 별맞이터 무대에 오르는 ‘추셔요’는 창작탈춤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생들로 구성된 ‘천하제일탈공작소’가 선보이는 작품이다. 이들은 무형문화재인 봉산탈춤, 고성오광대, 안동하회별신굿의 이수자로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추구하는 젊은 탈춤팀이다.
창작 작품의 스토리 자체는 예이츠의 희곡 ‘고양이와 달’에서 따왔다. 우연히 만나게 된 세 사람이 홍수 때 줍게 된 탈을 가지고 신명나게 노는데, 이들은 탈을 쓰면 개와 장님과 절름발이로 변신하게 된다. 예이츠의 작품에 의존하되 주제의식만 살려둔 채 다양한 대사와 재담을 덧붙여 관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했다.
또 하나의 볼거리는 이들이 선보이는 창작탈을 보는 것. 전문가들의 자문과 답사 등을 통해 독특한 탈들을 선보인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선정한 ‘2010 전통연희상설공연작’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0-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