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첫 금 ‘한국 체조 상징’
전국체육대회서 마지막 착지
가장 어려운 기술 ‘양학선’ 개발
“선수 은퇴… 체조 발전 힘쓸 것”

대한체조협회 제공
한국 체조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따낸 ‘도마의 신’ 양학선이 지난 27일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열린 은퇴식에서 대한체조협회가 수여한 공로패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대한체조협회 제공
대한체조협회 제공
한국 체조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도마의 신’ 양학선(33·부산시체육회)이 정든 뜀틀과의 인연을 정리했다.
29일 대한체조협회에 따르면 양학선은 지난 27일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사전경기로 치러진 체조 도마 경기를 끝으로 현역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양학선은 2012 런던올림픽 도마 결선에서 1, 2차 평균 16.533점으로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을 무려 0.134점 차이로 제치고 금메달을 따냈다. 한국 체조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양학선은 런던올림픽을 전후로 열린 2011, 201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도 도마 종목 2연패에 성공했다. 양학선이 개발해 그의 이름을 딴 ‘양학선’(정면으로 짚고 뛰어올라 3회 비틀기)은 난도 5.6점으로 가장 어려운 도마 기술 중 하나다.
양학선은 2014년 세계선수권대회 이후 발병한 오른쪽 햄스트링(허벅지 뒤 근육)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6년 오른쪽 아킬레스건도 수술해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출전이 불발됐다.
은퇴식 직후 열린 전국체전 도마 결선에 출전한 양학선은 동메달을 따내며 선수로서 마지막 메달을 목에 걸었다. 양학선은 “그동안 응원해 주신 국민 여러분과 체조인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선수로서의 삶은 끝났지만 앞으로도 한국 체조의 발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양학선의 은퇴식과 마지막 경기는 아내와 아들이 직접 관전하며 마지막 도약을 응원했다. 또 1996 애틀랜타올림픽 체조 은메달리스트인 여홍철 대한체조협회 전무이사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대한체조협회는 한국 체조의 상징이자 세계적인 스타로 이름을 날린 양학선의 업적을 공로패로 기렸다.
2025-09-30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