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 방문에도 18일 국빈급 만찬
“실추된 명예 되찾아주는 극적 행보”
‘트럼프家 부동산 사업용’ 논란 예상
리야드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전용기를 타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킹 칼리드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영접을 받고 있다.
리야드 로이터 연합뉴스
리야드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행정부에서 ‘국제 왕따’로 낙인 찍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명예를 회복해 주기 위해 국빈급 예우를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이후 7년 만에 미국을 방문하는 빈 살만 왕세자와 18일 회담을 가진 뒤 저녁에는 이스트룸에서 열리는 공식 만찬에 초대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준비 중인 만찬은 ‘블랙 타이 만찬’으로 남성은 턱시도, 여성은 이브닝드레스 등 엄격한 복장이 요구되는 국빈급 만찬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상하원 의원들 외에도 저명한 미국 기업 경영자들이 만찬에 초대된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는 국가 원수가 아니어서 공식적으로는 실무 방문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빈급 예우를 준비 중인 것이다.
WP는 “한때 국제 왕따로 비난받았던 빈 살만 왕세자의 실추된 명예를 공식적으로 되찾아 주는 극적인 행보”라고 평가했다. 사우디는 미국의 오랜 전략적 동맹이지만, 2018년 10월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을 계기로 관계가 멀어졌다. 특히 바이든 전 대통령은 2021년 정권 출범 전후 빈 살만을 향해 “국제 왕따로 만들겠다”며 날을 세웠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사우디와의 관계 회복을, 사우디는 F-35 전투기 구매 등 군사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극진한 대우는 트럼프 일가의 사우디 부동산 사업 진출을 위한 포석이기도 해 이해충돌 논란이 빚어질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빈 살만 왕세자 방미 중 트럼프 대통령의 가족기업 트럼프 그룹이 사우디 초대형 도시 개발 사업 ‘디리야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새로운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2025-11-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