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동 족발 맛의 원조… ‘뚱뚱이 할머니’ 전숙열씨 별세

장충동 족발 맛의 원조… ‘뚱뚱이 할머니’ 전숙열씨 별세

오세진 기자
입력 2021-04-29 21:54
수정 2021-04-30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고 전숙열씨.  연합뉴스
고 전숙열씨.
연합뉴스
서울 중구 장충동 족발골목에서 가장 먼저 족발을 판매한 가게 ‘뚱뚱이할머니집’ 창업자인 전숙열씨가 지난달 12일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사실이 29일 뒤늦게 알려졌다.

평안북도 남서쪽 해안에 있는 곽산군에서 태어난 고인은 일제강점기인 1943년 서울에 와서 14년 뒤인 1957년 장충동에서 식당 ‘평안도’를 차려 녹두빈대떡을 주로 팔았다. 이후 술안주를 찾는 손님들의 요구에 맞춰 돼지족발을 개발했다고 한다. 가업을 이은 손녀 김문주·송현씨 자매는 “할머니가 이북에 계실 때 할머니의 어머니가 된장으로 해 주던 요리가 생각나 시작하게 됐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고인이 만든 돼지족발은 입소문을 탔고, 이후 장충동에 족발집들이 줄줄이 들어서며 1970년대부터 족발골목을 형성했다. 서울시는 2013년 족발집들이 밀집한 장충동 거리를 보존 필요성이 있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했다.

고인이 ‘뚱뚱이할머니집’이라는 상호명을 쓰기 시작한 때는 1968년이다. 1990년 12월 며느리가 2대 사장이 돼 30년째 운영해 왔고, 현재는 손녀들이 운영해 3대째 이어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가게를 ‘백년가게’로 지정하기도 했다.

고인은 단골손님들이 붙여 준 별명인 ‘뚱뚱이’처럼 인심도 후해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기부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21-04-3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