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보육원에 발 묶인 아이들… ‘배움의 기회’마저 뺏겼다[남겨진 아이들, 그 후]

[단독] 보육원에 발 묶인 아이들… ‘배움의 기회’마저 뺏겼다[남겨진 아이들, 그 후]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2-03-28 01:36
수정 2022-03-28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發 보호아동 학습격차

이미지 확대
아동양육시설(보육원)에서 지내는 중고등학생 10명 중 7명은 가장 힘든 점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외출 제한’을 꼽은 것으로 27일 나타났다. 시설 보호 아동들은 지난 2년여 동안 정부의 방역지침으로 외출과 면회가 금지됐다. 밖에 나가거나 친구를 만나지도, 배우고 싶은 것을 마음껏 배우지도 못하면서 스트레스도 쌓일 대로 쌓였다.

●중고생 70% “외출 제한 힘들어”

서울신문이 서울 지역 보육원에서 지내는 중고등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최근 가장 힘들다고 느끼는 점’으로 68.5%가 코로나19로 외출을 못 하는 것을 꼽았다. 이어 ▲학업·성적·진로 고민(13.1%) ▲외로움 등 심리적인 문제(6.2%) 등이 뒤를 이었다.

●보육원 밖 진로탐색 기회 줄어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진로 탐색 등을 위한 외부 사회생활 기회도 줄었다. 비대면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주변 환경이 열악해 학습결손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들의 36.2%는 외부 사회생활 경험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고 느꼈다. 또 ‘지금 당장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는 44.0%가 외부 활동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학생은 “다시 돌아오지 못할 이 시간에 당연하다는 듯이 제약을 걸어 놓은 게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2022-03-2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